인니, 40조 수도이전 추진…중동 대체 다크호스로 급부상 비우호적 영업환경·현지업체 텃세 등 진입장벽 만만찮아 터무니 없는 짧은 공사기간 등 예측불가 사업조건 리스크
  •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간디 술리스티얀토 수헤르만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간디 술리스티얀토 수헤르만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간 무력충돌이 지난 7일 한달을 맞은 가운데 새로운 해외시장 '다크호스'로 인도네시아가 떠오르고 있다. 

    정부는 민관합동 수주지원단인 '원팀코리아'를 구성, 40조원 규모 인도네시아 '신(新)수도 이전사업' 수주전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그러나 외국기업에 비우호적인 환경과 현지업체 텃세 등 진입장벽이 만만찮아 '공염불'에 그칠 것이란 회의론도 적잖다.

    9일 해외건설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내년 상반기중 보르네오섬에 있는 누산타라를 새로운 수도로 공식 선언하고 대통령궁과 집무실, 시청, 주요 행정기관 등을 이전할 계획이다. 

    해당사업은 2045년까지 총 40조원을 투입, 현 수도인 자카르타에서 누산타라로 이전하는 초대형 장기 프로젝트다. 누산타라 총면적은 2561㎢로 서울(605㎢)의 4배에 이른다.

    현재 대통령궁을 비롯한 관공서 등이 건설중이며 특히 내년 2월 예정된 대통령선거가 마무리되면 신수도 이전사업에 대한 개발속도는 보다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건설사 수주확대를 위한 우리정부의 물밑지원도 이미 시작됐다. 

    국토교통부·한국토지주택공사(LH)·한국수자원공사·국가철도공단 등 공기업과 52개 민간기업으로 구성된 원팀코리아는 지난달 인도네시아로 출국, 본격적인 수주활동에 돌입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간 충돌이 유혈분쟁으로 확대되자 중동 대체시장으로 인도네시아가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이달초 간디 술리스티얀토 수헤르만(Gandi Sulistiyanto Soeherman) 주한 인도네시아 대사를 만나 △스마트시티 △신수도개발 △철도인프라부문 협력강화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원 장관은 "건설·IT 등 여러분야에서 충분한 역량을 갖춘 한국기업들이 신수도건설에 큰힘이 되어 줄 것"이라며 한국기업에 대한 수주지원을 당부했다.

    가시적 성과도 나오고 있다. 원팀코리아 일원인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최근 현지 국영건설사인 WIKA와 신수도 스마트시티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고 또 현지 최대 부동산개발사인 시나르마스 랜드와도 개발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썼다. 

  • ▲ 칼리만탄섬 '누산타라'의 대통령궁 건설 현장. ⓒ연합뉴스
    ▲ 칼리만탄섬 '누산타라'의 대통령궁 건설 현장. ⓒ연합뉴스
    다만 외국기업에 비우호적인 현지 건설시장 특성상 진입장벽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해외건설협회 등에 따르면 외국기업이 인도네시아에서 건설업을 영위하기 위해선 현지법인을 꼭 설립해야 하며 특히 공공공사 입찰시엔 반드시 현지업체와 공동으로 참여해야 한다. 또 외국지사는 3년내 실적이 없을 경우 영업연장이 불가능하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경우 현지 건설사들이 관급공사 수주를 꽉 쥐고 있어 진입자체가 쉽지 않고 초대형 프로젝트를 공동수행할 업체를 찾는 것도 난관이 예상된다"며 "정부차원에서 현지정부·업체들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과정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현지 정부의 예산부족으로 프로젝트 80%가량이 민관합작 투자사업(PPP)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은 호재가 될 수 있다"며 "결국 관건은 네트워킹과 재원조달"이라고 부연했다.

    예측불가한 인도네시아 정부의 정책추진도 리스크요인으로 꼽힌다. 과도하게 짧은 사업기간을 요구하거나 입찰과정이 불투명하게 진행되는 것 등이 대표적인 예다.

    실제 LH가 추진하던 인도네시아 신수도 공무원주택 건설사업도 현지 정부의 무리한 요구 탓에 결국 중단됐다.

    본 사업은 신수도 예정지에 1569가구 규모 주택단지를 건설하는 것이다. LH가 인도네시아 내에서 추진하는 최초의 해외 PPP 방식 프로젝트였다.

    하지만 과도하게 짧은 사업기간이 발목을 잡았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연내 착공후 내년 8월까지 준공을 요구했다. 이에 LH는 사업기간 연장을 요청했지만 '불가하다'는 통보를 받았고 촉박한 일정 탓에 건설투자자 모집에도 실패해 결국 사업이 좌초됐다.

    해외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신도시 프로젝트 관련 법규가 일부 모호하고 추후 대선결과에 따라 정부정책이 급변할 가능성이 있다"며 "입찰과정에 비상업적인 요소가 반영되는 등 정부의 사업권선정 과정이 불투명한 부분도 있어 장기적인 현지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