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가 경쟁력 내세워 거친 영토확장1~9월 非중국 시장까지 LG엔솔과 나란히 1등中 LFP 기술력 '한수 위'… K배터리 앞다퉈 LFP 양산 속도
  • ▲ 1∼9월 非중국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SNE리서치 제공.
    ▲ 1∼9월 非중국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SNE리서치 제공.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업체의 지배력이 더 커지고 있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인 CATL을 비롯한 중국 업체들이 중저가로 통하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기술을 앞세워 빠르게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것. 이에 질세라 국내 배터리 업체들도 시장에서 주력으로 떠오른 LFP 양산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9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1∼9월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판매된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사용량은 228.0기가와트시(GWh)로 전년 동기 대비 54.9% 성장했다.

    업체별 순위에서는 CATL가 104.9%(64.0GWh)의 세 자릿수 성장률을 보이며 시장 점유율 확대에 성공했다. 지난달 0.8%p 격차로 LG에너지솔루션을 추격했던 CATL은 이달 점유율 28.1%로 공동 1위에 올랐다.

    CATL의 배터리는 테슬라 Model 3·Y(중국산 유럽, 북미, 아시아 수출 물량)를 비롯해 BMW, MG, 메르세데스, 볼보 등 메이저 OEM 브랜드들에 차량에 탑재되고 있다. 최근 현대의 신형 코나와 기아 레이 전기차 모델에도 CATL의 배터리가 탑재돼 국내 시장에서도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년 동기 대비 49.2%(64.1GWh) 성장하며 1위 자리를 지켰다. SK온은 13.7%(24.4GWh), 삼성SDI는 41.4%(21.6GWh) 성장률로 나란히 4위와 5위를 기록했다.

    국내 배터리 3사 모두 상위권에 올랐지만 이들의 시장 점유율은 전년 동기 대비 5.8%p 하락한 48.3%를 기록했다. CATL을 비롯한 중국 업체들이 내수 시장보다 비(非)중국 시장에서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한국 업체들의 점유율을 끌어내렸다.

    SNE리서치 측은 "가격 경쟁력을 갖춘 LFP 배터리를 중심으로 흐름이 변화하는 시기에 가성비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심리가 들어맞으며 보급형 전기차 판매 비중이 증가할 것"이라며 "중국 업체들의 해외 진출 의지에 따른 비(非)중국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과 LFP 배터리 사용량 변화에 귀추가 주목된다"고 말했다.

    이처럼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한국 배터리 업체들고 초격차 기술 확보에 나섰다. 기존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 외에도 저가형 LFP 배터리를 포트폴리오로 추가해 제품 다변화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구상이다.

    LFP 배터리의 경우 국내 업체들이 생산하는 삼원계 NCM 배터리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떨어져 주행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술 개발로 성능이 빠르게 개선되면서 LFP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LFP 배터리의 점유율은 2020년 11%에서 이듬해 25%, 2022년 31%로 급증했으며, 2024년에는 삼원계 배터리를 넘어 60%를 상회할 전망이다. 현재 LFP 배터리는 중국 업체들이 주도권을 쥐고 있으며 CATL과 BYD가 시장을 80% 이상 과점하고 있다.

    국내 업체들은 최근에는 3분기 실적 발표와 동시 배터리 양산 시기도 구체화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2026년 LFP 배터리 생산에 나설 계획이다. SK온은 현재 LFP 배터리 셀 개발을 완료하고 고객사와 공급을 논의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산 전기차 엔트리 라인업에서 LFP 채택이 확대되는 상황이어서 이런 추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NCM뿐만 아니라 성능을 보완한 LFP 등 저가 배터리 개발에도 집중해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