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인력 확충 시급성 피력… 필수의료 한계점 봉착 코로나19 전담병원 운영한 후 남은 건 '경영지표 하락' 공공임상교수제도 법제화 등 제도적 정비 요구
  • ▲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전담병상에서 근무 중인 지방의료원 소속 의료진들. ⓒ연합뉴스
    ▲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전담병상에서 근무 중인 지방의료원 소속 의료진들. ⓒ연합뉴스
    지방의료원 원장들이 코로나19 이후 경영난을 호소하며 직원 월급도 못줄 상황에 놓였다고 호소했다. 열악한 상황 탓에 의사가 떠나 시급히 의사 인력을 확충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조승연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장(인천광역시의료원장)을 비롯한 전국 35개 지방의료원장은 10일 '정상화를 위한 공동 호소문'을 정부에 전달했다. 

    이들은 "지방의료원이 필수진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의사인력 확충방안을 강력히 추진해달라"고 요청했다. 

    의료행위를 위해 적정한 의사가 필요하나 현장에서는 만성적인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감염병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며 최선의 대응을 했지만 결국 의료진 이탈이라는 부작용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지방의료원연합회는 "지방의료원의 의료인력 수급 문제는 공공병원 적자와 지역 의료서비스 미충족의 구조적 문제이므로 이를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진단했다. 

    부족한 의사 인력 문제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공공임상교수제도 시범사업'을 법제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시에 '전공의 공동수련제도' 추진을 통해 체계적인 공공의료 분야 전문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다각적 대책이 마련돼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또 우수인력의 확보는 물론 지방의료원 공익적 적자 해소에 도움이 되는 '파견의료인력 인건비 지원사업'의 국비 지원 규모를 2배 이상 확대하는 한편 '시니어의사 플랫폼 구축사업'도 시행돼야 한다고 했다.

    지방의료원은 코로나19 이전 80% 병상가동률을 유지했으나 코로나전담병원으로 전환돼 단골 환자 이탈로 현재는 49% 이하의 낮은 병상가동률을 보이는 등 심각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요 경영지표 역시 2019년 대비 60% 미만으로 회생불능 상태에 빠졌다. 

    이에 당장 내년부터 전국적으로 발생할 지방의료원 임금체불이 우려된다. 

    원장들은 "이미 일부 의료원에서는 실질적으로 임금을 지급할 수 없는 절박한 상황에 처했고 이를 피하기 위해 고육지책으로 약품비와 제수당 등의 지급을 유예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정부가 약속한 경영 정상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예산을 확보해 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