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조정위·패스트트랙 등…K-콘텐츠 복합개발사업 재개"지역 숙원사업…첫삽과 함께 주변단지 가격상승 기대"교통·주차·상업시설 확충 필요…소음·혼잡 역효과 올 수 법적구속력 없어 실효성 의문…관련산업 입주해야 효과
  • ▲ 고양시 CJ라이브시티 공사현장. 사진=박정환 기자
    ▲ 고양시 CJ라이브시티 공사현장. 사진=박정환 기자
    주춤했던 K-콘텐츠 복합개발사업이 다시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지원아래 프로젝트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반대로 그에 따른 우려도 만만치 않다. K-문화가 시들해지거나 수요가 떨어질 경우 자칫 수조원대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걱정에서다.

    이와 함께 일각에서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부가 한류에 편승해 선심성 개발촉진 방안을 쏟아내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대형 K-콘텐츠 개발사업이 연이어 가시화되고 있다. 하지만 수천억~수조원을 들여 비슷한 기능의 시설을 경쟁적으로 짓는 것은 중복투자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2015년 2월 건립계획 발표후 8년만에 본궤도에 오른 서울 도봉구 '서울아레나' 조성사업은 창동역 인근 약 5만㎡ 부지에 1만9000석 규모 음악전문 공연장과 중형공연장(2000석), 영화관(7개관), 상업시설 등을 건립하는 프로젝트다.

    서울시가 부지를 제공하고 카카오가 사업비 31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며 시공은 한화 건설부문이 맡을 예정이다.

    당초 이사업은 2022년 6월 착공해 2025년 준공할 예정이었지만 고금리 등으로 자금조달 환경이 악화되면서 차일피일 미뤄졌다. 현재 시와 카카오간 막바지 조율단계로 늦어도 이달내 실시계획인가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비용 및 인허가 문제로 중단됐던 경기 고양시 CJ라이브시티 개발사업도 재개 물꼬가 트였다.

    CJ라이브시티는 CJ계열사인 CJ ENM이 지분 90%를 출자한 CJ라이브시티와 경기도가 손잡고 축구장 46개 크기 30만㎡ 부지에 국내 최대규모 공연장과 상업시설, 호텔 등을 짓는 복합문화단지다.

    공사비만 1조8000억원에 달하는 대형사업으로 실내 2만석·야외 4만명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공연장 '아레나'가 핵심시설로 꼽힌다.

    2021년 10월말 착공에 들어갔지만 올 4월 지방지치단체 인허가와 공사비 재산정, 지체보상금 등 문제가 발생하면서 일시중단됐다. 그러던중 최근 국토교통부 '민간합동 PF 조정위원회'에서 우선검토 대상으로 선정해 재개 가능성이 높아졌다.

    경기 하남시에서는 미국 라이스베이거스의 초대형 돔형공연장을 본뜬 '더 스피어(The Sphere)'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시와 미국 엔터테인먼트업체 매디슨스퀘어가든스피어(MSG스피어)간 업무협약 체결과 실무협의체 구성이 완료된 상태로 12월중 MOA(합의각서) 교환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MSG스피어의 투자유치를 이끌어내기 위해 본사업에 행정절차 패스트트랙을 적용하기로 했다. 이경우 타당성평가와 그린벨트 해제 등에 소요되는 행정절차기간이 기존의 절반인 21개월로 단축된다.

    당초 MSG스피어가 2025년 착공을 요구했던 만큼 이번조치로 행정절차를 단축시키고 투지유치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 ▲ 서울아레나 조감도. ⓒ도봉구
    ▲ 서울아레나 조감도. ⓒ도봉구
    사업지 주변 부동산시장에서는 연이은 K-문화시설 추진을 호재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다만 아파트가격 상승 등 실질적인 변화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창동 D공인 관계자는 "서울아레나는 수년전부터 지역 숙원사업이었던 만큼 추진단계나 시세변화를 묻는 전화가 꾸준히 늘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큰 개발사업건이 갑작스럽게 중단되는 등 시장분위기가 흉흉해 기대감이 예전만 못한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중 첫삽을 뜨면 인근단지 가격이 오르는 등 가시적 시장움직임이 있지 않겠나"라고 부연했다.

    물론 탐탁치 않은 시선도 상당하다. 부동산 인터넷커뮤니티 등에서는 프로젝트 실효성을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고양시에 거주한다고 밝힌 한 주민은 "수만명 관객을 수용하려면 그에 맞는 대중교통 인프라와 주차장, 상업시설 등이 확충돼야 하는데 가능할지 의문"이라며 "집값 상승은커녕 공연장 소음과 혼잡도 증가 등 역효과만 나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현실화 가능성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공연장 설립 등 대규모 복합개발사업 경우 자금조달 루트 한곳만 이상이 생겨도 프로젝트 전체가 휘청거리게 된다"며 "조단위 사업을 강행하기에는 시장환경이 상당히 열악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가 공사비 갈등해소를 위해 민관합동 조정위원회를 운영한다고 하지만 법적구속력이 없어 실효성에는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익명을 요구한 한 부동산 전문가는 "한류에 편승한 정부와 지자체의 총선용 정책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더욱이 공연장 경우 1년 365일 운영되는 시설이 아닌 점을 고려하면 자칫 수조원대 '애물단지'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K팝 인기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아무도 모른다"며 "공연장 수요감소에 대비한 시설운영 방안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연장과 함께 관련 산업시설이 함께 들어오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공연을 보러 온 사람들이 주변상권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지역부동산에 긍정적"이라며 "관람객들이 자차로 오는지 대중교통으로 오는지에 따라 공연장 영향력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서울 고척돔 사례처럼 공연이 있는 날과 없는 날 사이 소비편차가 큰 것이 문제"라며 "대형공연장이 먼저 들어온뒤 엔터테인먼트 회사 등 관련 산업군이 함께 들어오면 플러스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