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생산·소매판매·설비투자 모두 '마이너스 전환'동행지수·선행지수도 감소…GDP 속보치 1.3% 온도 차
  • 올해 1분기 제조업 생산과 소매판매액, 설비투자가 모두 감소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가 1.3%를 기록하며 '깜짝 성장'했다는 한국은행의 발표와 거리가 크다.

    5일 통계청의 산업활동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제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는 109.5로 전분기보다 -0.5% 감소했다.

    제조업 생산지수 감소는 2022년 4분기(-4.9%) 이후 5분기 만이다.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생산 역시 1분기 0.3% 감소했다. 지난해 2분기부터 이어진 생산 증가 흐름이 3분기 만에 꺾였다.

    제조업 생산자 제품 출하 지수도 전분기보다 3.0% 줄어 2022년 4분기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생산자 제품 재고 지수 또한 전분기보다 1.2% 늘며 증가 전환했고, 재화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도 1분기 0.2% 줄어들며 감소 전환했다.

    대부분의 지표들이 1분기 실질 GDP 성장률 속보치에서 나타난 1.3% '깜짝 성장' 흐름과 상반된다.

    특히 한은 속보치에서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던 제조업 생산은 통계청 조사에서 0.5% 감소로 조사되는 등 차이를 보였다.

    한은 측은 조사와 통계청의 조사는 조사 방식이나 대상, 시점 등이 달라 지표 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GDP 수치 발표 당시 반영되지 않았던 3월 속보치 변동 등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현재와 미래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동반 하락하면서 향후 경기 전망을 낙관하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향후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보조지표 역시 3월 조사에서는 경기 회복 전망과 어긋나는 흐름을 보였다.

    체감 경기를 보여주는 광공업 생산확산 지수는 3월 38.2를 기록하며 지난해 7월(38.2)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3월 99.6으로 전월보다 0.3 포인트 하락했다.

    결국 낙관론에 경계심이 나올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최광혁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3일 보고서를 통해 "1분기 GDP가 정부에서 말하는 대로 교과서적인 성장 경로로의 복귀인지는 아직 불확실하다"고 평가했다.

    경제지표와 GDP 발표상의 괴리를 지적하며 한국 '민간소비'와 '국내소비'의 디커플링이 배경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