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장관 "우리도 선제적 설비 조정, 감축 불가피한 시점"고부가가치 철강시장 강자 위해 정책 지원 강화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정부가 30일 발표하기로 예정된 철강산업 경쟁력 방안에 대한 윤곽이 드러났다. 고로는 경쟁력이 있지만 후판, 강관 등 공급과잉이 심각한 품목은 설비조정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관계부처는 28일 주형환 장관 주재로 '제3차 산업구조조정분과회의'를 개최, 철강·석유화학 사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주형환 장관은 이날 회의에서 "구조조정도 개별기업의 재무 상황만 볼 게 아니라 해당 산업의 큰 방향에 맞춰 진행돼야 한다"며 "이번 산업경쟁력 강화방안은 업종별로 산업의 밑그림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날 철강협회가 발표한 BCG 보고서에는 중국 생산능력 감축에도 2020년에 7억~12억톤의 조강생산능력 과잉현상이 지속될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국내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후판, 봉형강 등 4개 품목 조정이 필요하다는 내용이 언급됐다.

     

    주형환 장관도 이에 맞춰 "우리도 선제적 설비 조정과 감축이 불가피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국내 철강산업이 일반재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시장 강자로 거듭나도록 정책지원을 강화하기로 결정했다.

     

    주 장관은 "친환경·정보기술(IT)화를 통한 설비 경쟁력 강화, 경쟁열위·공급과잉 품목에 대한 사업재편을 유도할 계획"이라며 "고부가 철강재 조기 개발을 비롯해 새로운 수출시장을 개척하면서 부적합 철강재가 유통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논의된 구체적인 방안으로 고로는 국제적인 온실가스 감축 움직임에 대응해 친환경 설비로 전환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노후 설비 위주로 15%가량 감축한 전기로는 IT를 활용해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는 안도 제시됐다.

     

    판재류는 범용 제품을 벗어나 고부가가치 강판, 경량 소재 중심으로 변해야 한다는 안이 포함됐다. 정부는 이를 위해 인수·합병(M&A), 연구개발(R&D), 첨단 설비 구축 등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주 장관은 "후판은 기존 생산중단에 더해 설비 감축·매각 등 선제적인 설비 조정이 필요하다"며 "강관은 경쟁력 있는 업체를 중심으로 한계기업이 보유한 설비의 통폐합을 유도하면서 고부가 제품으로 전환해 나가야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