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위직, 포스코·현대제철 잇따라 방문...구조조정 압박향후 정부의 동국제강 방문 여부 주목, 해법 찾기 난항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정부가 포스코, 현대제철을 잇따라 방문하면서 철강 구조조정에 고삐를 쥐고 있다. 이에 화답이라도 하듯 포스코는 후판 공장 중단 검토를, 현대제철은 과감한 설비투자를 약속하며 정부의 방향성에 맞춰가고 있다. 후판 3사 중 2개사를 방문한 정부가 이제 발길을 동국제강으로 돌릴지 관심이 주목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은 지난 6일 현대제철을 전격 방문했다. 11월 9일 주형환 산업부 장관이 포스코를 방문한 데 이어 약 한 달만에 또 다시 산업부 고위직이 철강사를 찾은 것.

     

    현대제철 방문 직전 정만기 차관은 당진지역에서 철강업계 간담회를 열고, 철강사들의 사업재편 참여와 과감한 투자를 요청했다. 간담회에서 정 차관은 "철강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후판, 강관 등 공급과잉 품목의 선제적 사업재편과 미래가 유망한 고부가가치 철강재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히지만 포스코를 제외한 현대제철, 동국제강이 기업활력제고법(원샷법)을 신청했음에도 실질적인 구조조정 효과가 아직까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모두 기존에 계획된 사업재편을 원샷법이라는 제도에 신청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담회에서 나온 사업재편은 새로운 구조조정을 신속하게 진행하라는 정부의 의도가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제철을 찾은 정만기 산업부 차관은 강학서 사장과 미팅을 가졌다. 그 자리에서 강학서 사장은 약 8110억원 규모의 고부가철강재 생산을 위한 설비 투자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포스코처럼 후판공장 가동 중단을 검토한다던가 실질적으로 수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안을 내놓지는 않았다. 대신 조선 수주 절벽에 따른 후판 수요 급감에 대비해 고급후판 생산을 확대하는 등 대안을 밝히며 후판사업 지속의 필요성을 은연중에 알렸다.

     

    포스코, 현대제철을 잇따라 방문한 정부가 이제 발걸음을 어디로 돌릴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규모면에서나 제품군이나 동국제강이 유력하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국내에서 후판을 생산하는 업체 중 방문하지 않은 업체는 동국제강이 유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 고위 관계자가 동국제강을 방문한다 하더라도 구조조정의 답을 얻기는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 후판공장을 두 차례나 폐쇄한 경험이 있는 동국제강이 또 다시 후판에 대한 구조조정을 진행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기 때문이다.

     

    현대제철 사례처럼 설비투자나 다른 대안을 내놓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는 후판사업 존치의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고급강 확대 등의 계획을 밝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정부 관계자가 동국제강까지 방문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미 포스코, 현대제철을 방문하면서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업계에 충분히 알렸다는 이유에서다. 포항, 당진 등 국내 철강 주요지역을 이미 찾은 만큼 다른 지역을 방문할 필요성이 적어졌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철강사들을 방문하면서 구조조정 동참에 무언의 압박을 가하고 있는거 같다"면서도 "이게 얼마만큼의 효과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마지막 남은 후판 제조사인 동국제강을 방문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지만 포스코, 현대제철을 이미 찾은 만큼 어느정도 구조조정 필요성은 알린 것으로 보인다"면서 "동국제강을 찾는 대신 내년 신년 인사회나 공식적인 행사에서 재차 구조조정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