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부건설·계룡건설, 시설물 유지관리 등 사업 목적 추가"정부 지원책·관련 법안 등으로 빠른 속도로 고도화될 것"
-
-
-
-
▲ 서울 성북구 한 아파트 단지. ⓒ뉴데일리경제 DB
불안정한 해외 비즈니스 여건과 국내 주택시장 침체 우려 확산 등으로 고전 중인 건설업계가 불황 파고를 넘기 위해 부동산서비스업 진출을 도모하고 있다. 시공 이후 안정적인 수익창출로 수주산업 변동성을 극복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부동산서비스업 분야 가운데 건물관리업에 대한 건설사들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건물관리업은 △시설관리 △임대자산관리 △자산 매입매각 등 컨설팅까지 담당하는 자산관리로 분류된다.
동부건설은 오는 24일 주주총회에서 정관변경을 통해 시설물 유지관리업을 사업목적에 추가할 예정이다.
동부건설 측은 "업계 트렌드가 유지관리 쪽으로 가고 있어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 차원에서 정관을 바꾸는 것"이라며 "시설물유지관리 시장이 선진국 수준으로 고도화되면 결국 유지관리 물량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시기가 닥쳐서 진입하려면 늦으니 시장이 커지기 전에 준비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계룡건설산업도 시설물유지관리를 비롯해 부동산종합서비스업·건축물유지관리업·경영진단 및 컨설팅업 네 가지를 오는 28일 이사회에서 사업목적에 추가할 계획이다.
이는 공공공사에 집중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계룡건설은 지난해 공공공사 수주 1위를 달성하는 등 공공공사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내왔다. 그러나 공공공사 발주물량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어 새로운 먹거리 발굴이 당면 과제로 떠올랐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계룡건설의 경우 지난해 오랜 부진을 털고 반등을 이뤄냈지만, 공공공사 위주로는 미래성장동력이 약하다는 판단에 근본적인 고민을 계속해 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공공공사 위주의 사업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새로운 먹거리 찾기가 본격화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미건설은 뉴스테이와 연계한 임대관리업에 진출했다. 뉴스테이와 같은 기업형 임대주택이 늘어나면 관리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우미건설은 자회사 우미자산운용을 설립, 자사 뉴스테이 브랜드인 '린스테이' 임대관리를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분양부터 임대관리·매도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금융 △임대관리 △평가자문 △법무·회계 상담 등에 이르는 부동산 종합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국토교통부로부터 네트워크형 부동산 종합서비스 예비인증을 받은 대우건설과 코오롱글로벌 등은 부동산 종합서비스에 본격 나설 예정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다양한 부동산서비스를 현장에 도입해 부동산업계 전반에도 혁신적인 효과와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업계 최초의 정부 인증으로 부동산 종합서비스 및 기획제안형 사업을 제공하는 등 새 먹거리를 추가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건설사들의 이 같은 도전은 국내 분양시장 과잉공급 우려와 11·3대책 및 각종 대출규제 여파 등 침체된 시장 여건에서 사업 포토플리오를 다각화해 리스크에 대비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기존 사업구조로는 미래를 기약하기 어려워진 만큼 새 수익원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중견건설 B사 관계자는 "최근 2~3년간 분양시장이 호황을 보이면서 주택 부문이 캐시카우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올 들어 주택경기 하방 가능성을 지적하는 의견들이 적지 않을뿐더러 주택사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택지 확보도 쉽지 않아지면서 건설사들이 신규 사업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부동산서비스업이 그동안 발전 속도가 더뎠던 만큼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부동산서비스업은 건설 위주의 수익구조에 밀려 발전 속도가 다소 더뎠다"며 "지난해 국토부가 여러 정책 지원을 통해 부동산서비스업을 전문화, 고도화하겠다고 밝힌 만큼 빠른 속도로 고도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여기에 지난해 말에는 김현아 자유한국당 의원이 부동산서비스산업을 정부가 적극 지원하는 내용의 '부동산 서비스산업 진흥법'을 발의했다.
법안에 따르면 국토부 장관은 부동산서비스업 진흥 기본계획을 5년 마다 수립·시행해야 한다. 또 부동산서비스업과 △정보기술산업 △금융산업 △물류산업 △공간정보산업 등 연관 산업과의 융·복합 관련 시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했다.
김현아 의원실 측은 "이 법안은 부동산서비스를 부동산 기획개발은 물론, 임대관리와 운영, 자금조달, 자문 정보제공, 연구조사 등으로 확대하자는 취지로 발의했다"며 "부동산서비스산업을 신경제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선언적 규정을 담은 법안"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