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정부 출범으로 이에 대한 국민적 기대감은 높지만 주식시장은 아직 눈치를 보는 모양새다.
문 대통령의 공약으로 반사이익을 보는 기업이 있는 반면 규제 강화로 인해 피해를 보는 기업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코스피 지수는 대선 이후 2300선 근처까지 차올랐지만 현재 업종별마다 경제 정책의 수혜주 찾기에 돌입하며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미래 먹거리 ‘4차 산업 혁명’, IT업계 활짝
새로운 정부가 출범과 동시에 약속했던 공약들이 한번에 추진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반적으로 IT업체들의 수혜 폭이 클 전망이다.
특히 사물인터넷 활성화로 관련 사업 성장이 기대된다. 상장기업 중에선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자의 기대가 높다.
삼성전자는 지주회사 전환 백지화를 선언해 오히려 주주이익 환원정책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다.
여기에 CE 사업부의 사물인터넷 연계 생활가전 제품 판매 촉진,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적용 분야 확산 등 새롭게 대두될 경제 정책에서 중심에 서 있다.
이밖에도 스마트폰 이후 전기차자동차 분야는 그룹 차원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삼성전자 외에도 LG전자, SK하이닉스도 각각 생활가전, 반도체 분야에서 성장이 기대된다.
LG전자와 SK하이닉스는 외국인의 투심이 몰려 올해 상승폭이 큰 종목으로도 꼽힌다.
LG전자 주가는 올해 들어 지금까지 약 47% 상승하며 삼성전자의 상승률(26%)을 크게 웃돌았다. SK하이닉스도 올해 약 24% 올랐으며 특히 최근 한 달 사이 급상승했다.
IT업계 외에도 신재생에너지 사업 육성으로 LG화학, 한화케미칼, 금호석유 등 화학업종이 부상할 것으로 보이며 한국가스공사는 원전가동 정지에 따라 대체 발전 수단인 LNG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 골목에서 나오시오” 규제 강화에 당혹
문재인 대통령의 10대 공약 중 3번째가 ‘반부패·재벌개혁’이다. 특히 일감몰아주기, 가맹사업 불공정행위 등에 대해 엄격한 잣대로 심판하겠다는 얘기다.
이에 가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곳이 현대차그룹이다. 새 정부가 지주회사 전환 시 자회사, 손자회사 지분율 요건을 강화하고 자사주 활용 제한 등의 정책 추진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은 현대차→현대모비스→현대차의 순환출자구조를 갖고 있는데 해소 비용만 수조 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지주회사 요건 강화까지 더해지면 지배구조 개편 비용은 더 커질 수가 있다.
일감몰아주기 규제도 현대차그룹이 주목하는 부분이다. 일감몰아주기 규제 시행 이후 현대글로비스의 오너 일가 지분을 29.9%로 낮춰 규제를 피했는데 지분 요건을 강화할 경우 다시 규제 대상에 포함된다.
현대자동차는 5월 초반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하다 문재인 대통령의 당선 이후 하락세로 반전한 상태다.
대형편의점 업체들도 좌불안석이긴 마찬가지다.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불공정한 가맹점 구조를 뜯어 고치겠단 선언 때문이다.
이미 공정거래위원회는 지자체와 가맹본부가 가맹금·평균 매출액 등 정보공개서의 주요 항목을 허위 기재하였는지 합동 점검하고 가맹사업법상 업무 일부를 지방자치단체에 위임하는 등 집행 체계 개편 방안을 마련한 상태다.
또한 가맹본부가 납품업체로부터 지급받는 판매 장려금, 리베이트성 금액을 정보 공개서에 밝혀 편의점 사업자가 가맹본부의 수익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계획이다.
이에 가맹사업 비중이 90% 이상인 GS리테일, BGF리테일 등 기업에게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주식시장도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12일 BGF리테일 주가는 전일대비 1.62% 하락했으며 GS리테일도 전일대비 2.94% 하락했다.
금융업에선 카드사가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내지 중소가맹점 범위 확대 등 수익 구조에 적지 않은 타격이 예상된다.
기업은행의 경우 중소기업 대출 확대로 인해 순이자마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