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통령 집권 초 경제 성장 드라이브로 주식시장 수익률 好4차 산업혁명·소비중심 내수활성화 정책 덕 코스피 훈풍세 전망
  • ▲ ⓒ 뉴데일리
    ▲ ⓒ 뉴데일리

    제 19대 문재인 대통령 당선에 코스피가 장중 2300선까지 오르며 화답했다. 역대 대통령 취임 초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만큼 제이노믹스를 등에 업은 국내 주식시장은 한동안 허니문 랠리를 이어갈 전망이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제19대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식과 함께 코스피는 2273.67로 마감했다. 외국인 순매도가 이어지면서 지난 8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던 2292.76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날 장중 한 때 2300선을 돌파하며 새 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됐다고 보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지난해 말부터 이어졌던 국정 공백 사태가 마무리되면서 정치 불확실성이 해소됐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이 내놓은 강력한 재정 정책에 대한 시장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다. 자신의 이름에서 따온 경제정책비전인 제이(J)노믹스에 따르면 당선 직후 10조원 규모의 추경 편성 등이 예고돼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소비 중심 내수 경기 부양책과 가계부채 해소, 일자리 창출 등 경제 회복을 위한 공약을 내세웠는데, 정권 초기에 경제 회복을 위해 성장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기대되면서 증시 부양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역대 대통령 당선 이후 코스피 추이를 살펴보면 새 대통령이 당선된 뒤 취임까지 강세를 이어가다 취임 후 보름에서 한달 이상 부진한 흐름을 이어갔다.

대통령들이 내세웠던 공약들이 법제화되고 정책으로 실현되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취임 후 1~2년 사이에는 코스피 증시가 강세를 나타냈다. 주로 대통령들이 집권 초기에 경제 성장을 위한 정책 드라이브를 강하게 걸면서 주식 시장도 큰 상승률을 기록하기 때문이다.

역대 대통령 취임 이후 코스피 수익률을 살펴보면 DJ노믹스를 내세웠던 김대중 정부와 노노믹스를 내세운 노무현 정권 시절 초창기만해도 각각 마이너스 11.22%, 3.32%를 기록하며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김대중 정권은 IMF 외환위기 사태 극복을 과제로 떠안고 출범한 만큼 강도 높은 기업 구조조정과 부채비율 축소정책을 추진하면서 주식시장의 외면을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김대중 정권 출범 후인 2011년 IMF 차입금을 전액 상환하는 등 경기 안정화를 위해 힘쓰면서 코스피 수익률도 차츰 플러스로 돌아서기 시작했다.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집권 초기 내세운 재벌 개혁으로 코스피 시장이 얼어붙었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 후 1개월동안 코스피 지수는 마이너스 3%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노무현 대통령이 취임 후 경제 기조를 유연하게 바꾸기 위해 노력하면서 긴장감이 맴돌았던 주식 시장도 조금씩 활력을 되찾기 시작했다. 노무현 정부 1년차와 2년차의 코스피 수익률은 각각 52.49%, 71.02%를 기록했다.

집권 3년차 이후에도 활황세를 지속했는데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노무현 대통령 재임기간 동안 경기 둔화로 인해 금리를 낮춰야하는 시기가 늦어지면서 주가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고 평가했다.

MB노믹스와 초이노믹스로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맞췄던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시절 주식시장은 정권 초부터 끝날 때까지 부진한 수익률을 나타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쇼크가 MB노믹스의 발목을 잡았고, 박근혜 정부 역시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추진했지만 다소 무리했다는 평가다.

다만,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부터는 한동안 주식시장이 활기를 띌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글로벌 경기 회복과 맞물려 국내 수출기업들의 실적도 좋아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주가 상승력이 충분하다는 평가다. 

여기에 문재인 대통령이 내세운 4차 산업혁명과 중소기업 육성 정책 역시 코스피 상승에 힘을 보탤 가능성이 크다. 

현 정권에서 미래성장 동력으로 4차 산업혁명과 ICT 르네상스를 제시하고 있는 만큼 국내 IT산업 활성화와 맞물려 신생회사 지원 확대, 벤처기업 활성화가 내수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제이노믹스에서 소비를 늘려 내수 활성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중산층 소비여력을 높이겠다고 공헌한 만큼 문화나 예술 관련 정책적 지원도 풍성할 전망이다. 

경제민주화 정책을 앞세워 재벌개혁이나 주식 양도 차익, 법인세 인상 등 투자 심리에 부담을 주는 공약들도 존재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소득분배와 국내 금융환경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는 긍정적인 부분도 있다.

이와 관련 대신증권 박형중 연구원은 "경제민주화 정책이 단기 투자 심리 측면에서 부정적인 이슈지만, 시장이나 기업의 추세적인 변화를 야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정책들이 법제화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향후 정책변화가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지는 않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