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부터 매월 직원 1인당 최대 50만원 주식매입예보 보유주식 콜옵션 행사 시 2% 추가 확보해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우리은행의 지배구조 판세가 변화될 조짐이다.

    현재 우리은행은 예금보험공사와 5곳의 과점주주들이 지배권을 갖고 있다.

    하지만 우리은행 임직원으로 구성된 우리사주조합이 다음 달부터 콜옵션을 행사할 경우 지분율은 4.28%에서 6.28%로 높아진다.

    이와 함께 우리은행 임직원은 우리사주를 통해 지난 3월부터 매월 정기적으로 우리은행 주식을 매입하고 있어 연내 7%선까지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단일주주로는 예금보험공사, 국민연금, 우리사주로 지배구조 우선순위가 재편된다.

    ◆우리은행 콜옵션 행사 여부가 관건

    24일 업계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하루 전까지 콜옵션 행사 여부와 관련해 임직원들에게 신청 접수를 진행했다.

    당초 마감일은 지난 19일까지로 알려졌으나 직원 개개인이 신청해야 하는 만큼 신청 기간을 더 둔 것이다.

    신청 마감 결과 현재까지 3분의 2정도가 신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우리은행 임직원이 보유한 우리사주 물량은 2875만7262주다. 콜옵션 물량이 1350만주인 점을 감안하면 콜옵션 행사 이후 우리사주 물량은 4000만주 가까이 된다.

    우리은행 우리사주 관계자는 “아직 퇴직 직원들까지 콜옵션 행사 여부를 묻지 않았지만 이달 말까지 최종 취합해 내달 콜옵션을 행사할 것”이라며 “아직 12월까지 콜옵션 행사 여부를 결정할 시간이 있기 때문에 하반기에도 추가로 신청을 받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우리은행 우리사주조합은 예보로부터 확보한 콜옵션 물량 2%를 전액 행사해 지분율을 높이겠단 계산이다.

    우리사주는 현재 우리은행 지분 4.28%를 확보해 놓은 상태다.

    ◆우리사주 경영권 참여 목전, 과점주주보다 우위

    우리은행 임직원이 우리사주 매입에 적극적인 이유는 경영권 참여 목적도 포함돼 있다.

    실제 우리은행은 콜옵션 물량 외에도 지난 3월부터 매월 급여의 일부분을 떼어내 우리사주 매입에 나서고 있다.

    은행의 지원금은 5만원에 불과하지만 직원의 판단에 따라 최대 50만원까지 우리사주를 사들일 수 있다.

    그 결과 3·4월에는 33만4900주를, 5월에도 17만9475주를 시장에서 사들였다. 지금과 같은 추세면 매월 정기적으로 15만주 이상을 확보하는 꼴이다.

    앞서 설명한 콜옵션 물량과 우리사주 정기매입을 포함하면 연내 지분율 7% 확보도 가능하다.

    이 경우 우리은행의 지배구조는 예금보험공사 18.30%, 국민연금 7.35%, 우리사주 7% 등 순으로 재편된다.

    과점주주의 경우 5곳의 총 지분율이 22%에 달하지만 IMM PE가 6%에 불과하며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한화생명, 동양생명 등이 각각 4%를 보유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사외이사 추천권을 갖고 우리은행 경영에 참여 중이다.

    우리은행 우리사주도 7% 이상 확보 시 사외이사 추천권을 요구할 수 있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다.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새 정부의 개혁 의지도 변화에 한 몫

    우리은행 임직원이 경영권에 참여하기 위해선 상법 개정도 중요한 변수다.

    국회 계류 중인 상법 개정안은 ‘시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의 구성 요건을 강화해 소액주주 및 우리사주조합 추천 1인을 사외이사에 의무적으로 포함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집중투표제 도입도 우리은행 임직원이 원하는 변화다.

    집중투표제는 기업이 2명 이상의 이사를 선출할 때 3% 이상 지분을 보유한 주주가 요청하면 주주총회에서 투표를 실시해 표를 많이 얻은 순서대로 이사를 선출하는 제도다.

    이 경우 우리사주가 확보한 지분율만큼 몰표를 행사하면 원하는 이사를 선출할 수 있다.

    새 정부는 최근 공정거래위원장으로 김상조 교수를 선임한 바 있다. 김상조 교수는 평소에도 소액주주의 권리를 주장한 만큼 상법 개정이 이뤄질 것이란 게 업계 전반적인 시각이다.

    우리은행은 과거 민영화 딱지를 붙인 채 예금보험공사의 갖은 규제를 받아 왔다. 기 한번 펴지 못한 세월이 긴 만큼 스스로 경영권을 행사하길 고대하고 있어 이번 지배구조 판도 변화에 적극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