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위 민간 위원 6명, 10월 12일 전원 교체돼최종구 금융위원장 인사청문회 때와 다른 행보
-
-
-
-
▲ ⓒ뉴데일리
우리은행의 완전 민영화가 연내 이뤄지기 힘들어 보인다. 은행 안팎에선 정부의 '금융 홀대론'이 수면 위로 드러난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공적자금위원회가 열렸지만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잔여지분 매각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인사청문회 당시 우리은행과 관련된 과제를 최대한 빨리 결론 내리겠다고 약속한 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공적자금위원회는 최종구 금융위원장을 비롯해 기획재정부 제1차관, 민간위원 6명 등 총 8명으로 운영 중이다.
이중 민간위원 6명은 오는 10월 12일, 2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교체된다.
사실상 우리은행이 과점주주 체제로 전환될 수 있었던 것도 민간 위원들의 목소리가 반영된 결과다.
따라서 이들의 임기 내 잔여지분 매각이 성사되길 우리은행 측에선 기대감이 컸다.
하지만 공자위 민간 위원들의 대거 교체로 인해 우리은행은 완전민영화와 함께 지주회사 전환이라는 큰 그림조차 연내 이뤄지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일각에선 현 정부의 ‘금융 홀대론’이 반영됐다는 불만도 있다.
실제 주식시장에서 우리은행 주식은 투자 매력이 높다. 지난 한 주 동안에도 외국인투자자는 380억원 순매수하며 우리은행 주식을 쓸어 담았다.
사모펀드 과점주주인 유진자산 역시 그동안 보유 주식 중 1%(676만주)를 처분하며 상당한 이익을 봤다.
업계 관계자는 “은행 주식 중 우리은행의 상승세가 뚜렷하지만 정부는 우리은행을 품 안에서 놓아주질 않고 있다”며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위한 목표치에 도달했는데도 매각 시기를 놓치면 낭패를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우리은행에 투입한 공적자금 12조8000억원 중 주식 매각과 배당으로 11조원을 회수했다.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잔여 지분은 18.78%로 회수율 100%를 달성하기 위해선 우리은행 주식이 주당 1만4300원 이상이면 된다.
현재 우리은행 주식은 1만8750원으로 충분히 공적자금을 회수하고도 이득을 보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