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 기간 신규수주 감소로 매출 30% '뚝'국내외 민간·공공 등 업황 부진 전망까지 '겹악재'
  • ▲ 자료사진. 아파트 건설공사 현장. ⓒ성재용 기자
    ▲ 자료사진. 아파트 건설공사 현장. ⓒ성재용 기자


    지난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마친 경남기업과 삼부토건의 시장 복귀가 쉽지 않아 보인다. 법정관리 기간 동안 줄어든 수주잔고로 매출 규모가 쪼그라들면서 사세 확장은커녕 수주조차 힘겨운 상황이다. 더군다나 올해 건설업계는 국내외 공공·민간 부문 모두 침체가 예고된 상황인 만큼 쉽지 않은 한해가 될 전망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종합건설업 면허 1호 건설사'로 잘 알려진 삼부토건은 지난해 3분기 기준 공사잔액은 3108억원으로, 전년동기 4920억원에 비해 36% 감소했다. 이는 1948년 창사 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2년 넘게 법정관리 절차를 밟은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진행 사업장 수도 현격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3분기 기준 국내에서 토목 59곳, 건축 11곳, 해외에서는 5곳 사업을 진행했으나, 1년 뒤에는 준공에 따른 사업장 수 감소로 국내 토목·건축 43곳, 해외 5곳으로 쪼그라들었다. 이 기간 연결기준 누적 매출액은 2782억원에서 2265억원으로 감소했다.

    앞서 2015년 자금난으로 법정관리에 들어간 삼부토건은 지난해 중국계 투자자인 DST컨소시엄에 인수됐다.

    지난해 새 주인을 맞이한 경남기업도 마찬가지다. 2016년 3분기 공사잔액이 7179억원에서 지난해 3분기에는 5353억원으로 1년새 25% 줄었다. 경남기업 역시 기업정상화 과정에서 인력과 조직을 축소하면서 신규사업 창출여력이 높지 않았다. 법정관리 기간이 1년 넘게 이어지면서 시장경쟁력이 뚝 떨어졌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347억원에서 2021억원으로 39%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30억원 흑자에서 34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해외사업 부실로 연간 2000억~3000억원을 기록할 때와 비교하면 개선된 수치지만, 기업이 정상화 단계로 진입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평이다.

    故성완종 회장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베트남에서 추진한 1조원 규모의 '랜드마크72 빌딩'사업이 발목을 잡았다. 분양률이 저조해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영업손실로 이어진데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도 누적되면서 상장 폐지, 법정관리 절차를 밟게 됐다.

    자산매각과 강도 높음 구조조정으로 회사규모는 크게 줄어들었다. 2000년대 20위권에 랭크됐던 시공능력평가순위도 해가 갈수록 내려앉았다. 2017년도 순위는 전년보다 13계단 하락한 48위로 떨어졌다. 1300여명에 달하던 직원 수 역시 400여명으로 급감했다.

    이밖에 진흥기업은 지난해 3분기 기준 공사잔액이 2조8800억원으로, 전년동기 2조9154억원보다 1%가량 감소했다. 이 기간 매출액은 4631억원에서 4114억원으로 11% 줄어들었다. 효성이 지분 48.17%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계열사 공사 지원을 받았지만 신규수주 및 매출 감소는 막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법정관리에서 갓 졸업한 이들은 사업 포트폴리오가 부족해 신규공사 수주가 어렵고, 매출액 유지도 힘든 실정이다. 또 법정관리를 졸업하고 새 주인을 맞은 지도 오래되지 않아 기업신용도도 낮다. 사업확대가 어려운 셈이다.

    실제로 대한건설협회와 건설산업연구원의 과거 한 조사에 따르면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 중인 건설사들은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신규수주를 위한 보증의 어려움'과 '추가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꼽았다. 또 '보유자산 매각 어려움'과 '기업 이미지 하락에 따른 민간공사 수주 어려움' 역시 애로사항으로 지적됐다.

    문제는 녹록치 않은 올해 업황 전망이다.

    정부의 잇단 부동산 규제책으로 인한 부동산 경기침체, SOC예산감축에 따른 공공부문 먹거리 감소 그리고 여전한 해외 발주시장의 불확실성 등으로 당분간 건설시장이 침체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정상화 궤도에 오르기에는 적잖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는 것이다.

    건산연 관계자는 "국제유가 상승으로 해외 발주시장이 어려워지면서 국내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건설업을 지탱해왔다"며 "하지만 주택경기 침체와 SOC 감축 등으로 민간과 공공부문이 동시에 위축되면서 '빙하기'로 접어들 길목에 서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특히나 중견건설사들의 먹거리였던 공공 토목부문과 분양시장 등의 침체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법정관리 졸업 기업들이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