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엔진 이어 저압엔진용 완전재액화시스템 개발LNG선 운영효율 높여 선주들로부터 ‘각광’
  • ▲ 대우조선해양의 저압엔진용 완전재액화시스템이 적용된 LNG선. ⓒ대우조선해양
    ▲ 대우조선해양의 저압엔진용 완전재액화시스템이 적용된 LNG선. ⓒ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이 고압엔진에 이어 저압엔진에도 완전재액화시스템을 LNG선에 적용하는데 성공했다.

    16일 대우조선은 선박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100% 재액화하는 완전재액화시스템이 적용된 저압엔진용 추진 LNG선을 세계 최초로 건조했다고 밝혔다. 이 선박은 일본 선사인 ‘MOL’에 인도됐다.

    천연가스 재액화장치는 LNG선 운항 중 화물창에서 자연적으로 기화하는 천연가스를 재액화해 재차 화물창에 집어넣는 것이다. LNG선의 운영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로 선주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이 일본에 인도한 선박에 장착된 재액화장치 ‘MRS-F’는 저압엔진용 LNG선에 적용할 목적으로 개발된 기술이다. 기존 재액화장치에 메탄 냉매 시스템을 결합해 증발가스의 재액화 효과를 극대화했다.

    MRS-F는 선박 인도 전 실시하는 시운전에서 조선소가 건조계약 상 보증하는 일일기화율을 초과 달성했다.

    일일기화율은 LNG선이 LNG 운송 시 자연기화되는 손실량으로, 선주가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부분이다. 선주는 이 시스템으로 연간 최대 100억원에 달하는 LNG 손실을 막을 것으로 대우조선은 보고 있다.

    대우조선은 지난 6월 고압엔진용 완전재액화시스템이 적용된 LNG선을 인도했다. 이어 저압엔진용 완전재액화시스템도 개발해, 해당 분야에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관측된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2015년 문을 연 에너지시스템 실험센터를 통해 압도적인 LNG 관련 기술을 보유하게 됐다”며 “완전재액화시스템과 화물창 등 LNG선 통합솔루션으로 선주들에게 큰 주목을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우조선은 글로벌 조선사 중에서 가장 많은 41척의 LNG선 및 LNG-FSRU 수주잔량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 신규수주한 LNG선은 12척으로, 이 역시 세계에서 가장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