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시범도시 시행계획 조성에 3조7000억 투입주거단지, 인프라 구축 등 건설사, 일부 토지 매입
-
정부의 스마트시티 사업이 연내 착공을 목표로 속도를 내고 있다. 백지상태의 부지에 신도시가 들어서는 만큼 먹거리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건설업계의 수혜가 전망되고 있다. 일부 건설사는 시범도시의 토지를 매입하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15일 정부에 따르면 국가 시범도시로 지정된 세종과 부산의 스마트시티 사업은 연내 실시설계를 마치고 조성공사에 착수한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2021년 말부터 입주가 진행될 예정이다.앞서 4차 산업혁명위원회 산하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는 전국 후보지 39곳을 검토한 끝에 지난해 1월 세종과 부산을 국가 시범도시로 선정했다. 기존 도시를 개조하거나 재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백지상태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과 도시를 결합한다는 계획이다.이에 따라 도시계획전문가와 사업시행자가 주도하던 기존 신도시 방식에서 벗어나 민간의 혁신총괄기획자(MP)를 중심으로 전문가들이 구상과 기획을 맡고 민간기업이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한다. 정부도 예산을 투입하면서 뒷받침하고 있다.이번 시범도시 조성에 소요되는 사업비는 부산 2조2083억원, 세종 1조4876억원 등 총 3조6959억원 규모다. 이 중 정부가 부담하는 금액은 2조4000억원 수준이다.문재인 대통령은 "세계 각국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분야에서도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지만, 국가적 차원의 시범단지를 만든 것은 우리가 세계 최초"라며 "부산과 세종의 시범도시가 성공하면 도시구상·계획·설계·시공·운영 등 전 과정을 포괄하는 선도모델로 해외 진출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이어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건물을 짓는 것이 아니라 기업과 기업, 시민과 시민이 협력하고 공유하며 함께 만들어가고 함께 운영해야 한다"며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성공을 위해 우리 국민들께서, 부산 시민들께서, 세종 시민들께서 더 많은 관심과 힘을 모아 줄 것을 당부한다"고 덧붙였다.스마트시티에 대한 민간기업의 관심도 뜨겁다.지난 13일 발족한 '스마트시티 융합 얼라이언스'에 총 113개 기업이 참여했다. 얼라이언스는 향후 시범도시를 포함해 스마트시티에 참여 의향이 있는 기업들을 대표해 정부에 법이나 제도개선 사항을 건의하고 기술협력, 비즈니스모델 개발, 국내외 보급·확산 등을 위해 상호 협력하게 된다.얼라이언스는 △모빌리티 △통신 △SI·플랫폼 △에너지·환경 △건설·건축 스마트홈 △안전 △헬스케어·교육 △수자원 △기타 등 총 9개 분야로 나눠져 있다. 이 중 건설·건축 스마트홈 분야에는 현대건설, GS건설 등 15개 기업이 참여했다.특히 건설사의 경우 이번 스마트시티 사업으로 먹거리 가뭄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범도시가 백지상태에서부터 조성되는 만큼 도로 등 인프라는 물론 주거단지 구축도 필요해서다. 이 외에도 공공·의료 등 다양한 클러스터가 조성된다.부산 시범도시의 경우 토지공급이 시작됐으며 일부는 건설사에 매각된 것으로 확인됐다.김우영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스마트시티의 핵심은 정보통신 기술이지만 시설물을 짓는 것은 건설사 몫이기 때문에 좋은 이슈인 것은 분명하다"며 "건설사 역량에 따라 새로운 플랫폼을 개발해 시공과 분양에서 그쳤던 사업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지방에 조성되는 신도시인 만큼 정부가 강조하고 있는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 흐름에 맞춰 진행되는 사업이지만 지방분권도 어느 정도 염두에 둔 사업이다. 실제로 정부는 세종과 부산 내 시범도시에만 각각 2만3000명, 8500명이 입주할 것으로 계획했다.국토부 관계자는 "연말이나 내년 초에 분양이 진행될 것"이라며 "주거단지 외에도 스타트업 등 업무시설이 들어서는 등 안전·건강·편의 인프라를 갖추는 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