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코리아세일페스타' 9~10월→11월로 옮겨실효성 논란 속 유통가 매출 증대 효과 '글쎄' "가격결정권 있는 제조사 적극 참여 유도해야"
-
‘실효성 논란’이 끊이질 않았던 코리아세일페스타가 올해는 11월에 열린다. ‘국내 최대 쇼핑축제’라는 수식어와는 달리 기대 이하의 할인 폭 등으로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았던 코리아세일페스타를 민간 주도 행사로 바꿔 흥행 부진을 극복하겠다는 각오다.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올해 코리아세일페스타 주요 일정을 보고했다고 밝혔다.우선 코리아세일페스타의 올해 행사를 '업계 주도'로 11월 1∼22일 개최할 예정이다. 앞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행사가 9∼10월 중 열린 것과 비교하면 시기가 한 달가량 늦춰졌다. 해가 바뀌는 시점인 연말에 열리는 블랙프라이데이와 달리 코리아세일페스타는 9~10월에 열리는 만큼 적극적인 할인정책을 펴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는 의견을 적극 반영한 것이다.또 올해 행사는 업계가 행사의 방향과 내용을 정해 추진하고 정부가 이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지원한다.정부는 “11월은 미국 블랙프라이데이(11월 마지막주 금요일), 중국 광군제(光棍節, 11월11일) 등 국내외 대규모 쇼핑 행사가 집중되고 연말 소비 분위기가 조성되는 시기라는 업계 의견에 따라 행사 기간을 이때로 정했다”고 설명했다.그러나 새롭게 바뀌는 ‘코리아세일페스타’를 두고 유통가의 표정도 밝지는 않은 모습이다. 연말 쇼핑 대목인 11월로 행사 시기를 옮기는 데 찬성하면서도, 제조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유인책 마련’과 코리아세일페스타만의 ‘색깔 찾기’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한 백화점업계 관계자는 “뚜껑은 열어봐야 알겠지만, 그동안 개최 시기가 9~10월 이라 소비심리 자극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줄곧 있었다. 올해는 행사가 대목인 11월로 옮겨가 흥행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한 면세업계 관계자는 “홍보가 잘돼서 실적이 오르면 좋겠지만, 기본적으로 11월은 연말 대목인 만큼 ‘코리아세일페스타’로 인한 흥행일지, 연말 대목으로 인한 후고아 효과일지 실적 집계가 어려울 것 같다”고 꼬집었다.또 다른 면세점업체 관계자도 “코리아세일페스타라고는 하지만 면세점의 경우 내국인보다는 중국 보따리상들이 주요 고객”이라면서 “보따리상들을 대상으로 한 각종 이벤트나 할인행사는 사실상 연중 실시되고 있는 만큼 코리아세일페스타라고 해서 특별히 달라지는 점은 없다”고 지적했다.대형마트 관계자도 “그동안 대형 가전 등 극히 일부 제품군을 제외하고는 코리아세일페스타로 인한 매출 증대 효과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결국 유통사들은 코리아세일페스타의 ‘흥행’을 위해서는 제조사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은다. 현실적으로 가격 결정권이 제조사에 있기 때문이다.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미국과 달리 직매입 방식이 아닌 국내 유통업계 특성상 유통채널에서 코세페를 위해 임의로 가격을 내리는 등 행사폭을 키우는데에는 한계가 있다”며 “결국 거시적 측면에서 가격결정권이 있는 제조사의 주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코리아세일페스타만의 ‘색깔 만들기’도 시급하다는 의견이다. 행사 기간이 이미 유통업계에서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던 시기였던 만큼 코리아세일페스타만의 색깔이 희미하다는 것이다. 이에 국가적인 브랜드로 육성하고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의미 부여 및 소비 확대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은다.업계는 다음 달 6일 ‘제1차 코리아세일페스타 추진위원회’를 열고 구체적인 추진 방향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