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지원펀드 투자타당성 관련 법률·회계 자문 컨소시엄 구성 착수경영정상화 지원펀드(PEF)에 LP로 참여, 연간 10건·2000억원 투자
-
한국자산관리공사가 시장중심 구조조정 활성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기업지원펀드 투자를 위한 자문 작업에 착수하는 등 본격적인 활동을 예고했다.6일 업계에 따르면 자산관리공사(캠코)는 최근 기업지원펀드 투자타당성 검토를 위한 용역을 발주했다.구조개선기업에 대해 투자하려는 PEF 운용사(GP)가 캠코에 유한책임사원(LP)으로 참여 요청할 경우 이에 대한 투자 계획서를 검토할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내용이다.캠코는 2개 로펌(법무법인, 법률사무소)로 구성된 1개 컨소시엄을 선정해 1년 동안 운영할 계획이다.
제안 운용사(GP)가 자체적으로 선정하는 로펌과 중복돼 이해상충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감안해 2개 로펌으로 운영키로 했다.선정된 컨소시엄은 공사의 기업지원펀드 투자 관련 투자계약서를 검토하는 업무를 맡는다. 투자구조 상 설립되는 펀드(PEF) 정관에 대한 법률, 법률 리스크, 투자구조에 따라 자본시장법 상 투자목적회사 설립 시 주주간 계약서 등을 검토한다.2개 회계법인으로 구성된 컨소시엄도 선정한다. 회계법인은 캠코가 투자하는 회사에 대한 제안 운용사(GP)의 실사 및 가치평가자료, 최근일자 결산 재무제표, 공사 투자금에 대한 회수가능성을 검토하고 시나리오를 분석할 예정이다.캠코가 이같은 작업에 착수한 이유는 정부가 추진 중인 '시장 중심 구조조정 활성화' 정책이 자리잡고 있다.지난 1997년 IMF를 거치면서 채권은행 중심으로 구조조정을 시행한 결과, 시장충격을 줄이고 빠르게 기업 재무구조를 개선하는데 성과가 있었다.하지만 재무구조 개선에만 집중하다보니 근본적인 사업 체질개선이 미흡했고, 채권은행은 자금회수에 주력하고 기업은 도덕적 해이에 빠지는 등 부작용도 발생했다.이에 정부는 지난해부터 구조조정 방식의 한계점을 인식, 채권은행 역할은 축소하고 그 자리를 민간 플레이어에게 넘기는 방식을 추진해왔다.국책은행 대신 캠코와 성장금융, 유암코 등이 전면에 나서 정책자금을 활용해 투자자를 유치하고, 전문 구조조정 사모펀드 운용사(PEF)를 통해 자본시장 플레이어들이 투입되는 방안이다.캠코는 정책금융기관으로 마중물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기업경영정상화 PEF에 LP로 참여하고 있다.최근에는 자동차 브레이크와 변속기 관련 부품 제조 중소기업인 ㈜다이나맥에 투자하는 기업경영정상화 PEF에 LP로 참여해 100억원 가량을 출자했다.캠코는 ㈜다이나맥의 회생절차를 성공시키기 위해 운영자금 등 신규자금 공급이 필요하다고 판단, 다수의 자본시장투자자와 매칭했고 유암코-파인우드PEF로부터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여기에 캠코도 100억원 가량 공동 투자한 셈이다.캠코는 현재 기업지원펀드에 연간 약 10건 정도 투자할 계획을 세워둔 상태다. 투자 규모는 약 2000억원이며 회생절차 기업의 기존 경영인을 유지하며 운전자금 등 신규자금을 지원하는 DIP방식으로 운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