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들어 네번째 사망사고가 발생한 현대중공업이 초강수 대책을 들고 나왔다. 조선 사업 대표를 전격 교체했다.
하수 부사장을 문책하고, 신임 대표에 이상균 현대삼호중공업 사장을 앉혔다. 안전관리 총책임자를 사장으로 격상하고, 기존 생산본부를 안전생산본부로 확대했다.기존 안전관리 시스템에 대한 종합적인 점검 및 보완이 이뤄질 전망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6년부터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영방침을 수립하고, 안전조직을 대표이사 직속의 '안전경영실'로 격상한 바 있다. 동종업계 최초로 통합안전교육센터와 통합관제센터, VR체험 안전교육관 등을 건립하며 안전관리 인프라 구축에도 신경을 써왔다.
지난 4월 23일에는 전사적으로 '안전대토론회'와 안전점검을 실시하기도 했다. 모든 작업자가 정확한 안전지침에 따라 가장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생산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표준작업지도서를 전면 재개정하기로 했다.
특히, 공정별 작업내용 검토와 위험성 평가 등을 수행하는 별도의 TFT를 구성해 조선업종 특성에 꼭 맞는 '맞춤형 표준작업지도서' 제작에 돌입하기로 했다.
8월까지 현장 생산부서가 중심이 돼 고위험 요인 및 작업의 개선사항을 직접 건의하고, 즉각적인 개선작업을 펼치는 '전사 안전개선활동(Hi-SAFE)'도 실시하기로 했다.
임직원의 안전의식을 높이기 위해 직급별 안전교육 과정 의무화. 우수 이수자에 한해 직책 및 보직을 맡을 수 있는 '안전 커리어 패스 제도'도 하반기에 도입하기로 했다.
그럼에도 사망사고가 잇따르자 현대중공업 임직원들은 망연자실하면서도 더욱 긴장하는 모습이다.
앞서 지난 21일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작업 중이던 하청업체 근로자 A씨가 배관 안에서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현대중공업 관계자는 “경찰과 고용노동부 등의 조사를 통해 사고 원인 등이 밝혀질 것”이라며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재발방지를 위해 문책성 인사가 이뤄진 만큼 강화된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안전사고는 한순간의 방심으로도 일어날 수 있는 만큼 조선소 현장에서는 긴장의 끈을 놓치 말아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조선소는 언제든 위험한 상황이 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주의가 필요하고, 안전관리 수칙 준수와 설비 및 장비 점검 등도 엄격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도 남의 일 같지 않게 긴장하며, 안전관리에 부쩍 신경쓰는 모양새다.
대우조선해양은 위험성평가, 재해통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자체 '12대 중대 안전수칙'을 제정해 반드시 지킬 것을 서명하고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중대 안전수칙은 ▲고소작업 시 안전벨트 고리 체결 ▲ 발판 설치 및 해체, 사용 기준 준수 ▲밀폐구역 출입 전 가스농도 측정 ▲위험작업 작업승인 규정 준수 ▲화기작업 시 불받이 설치, 이면 확인 ▲전기작업 전 경고 및 잠금 조치 ▲조양중인 블록/자재 하부 출입금지 ▲작동중인 기계/장비 작업반경 내 접근금지 ▲안전장치 임의 해체 금지 ▲도장/화기 혼재작업 금지 ▲차량/중장비 운전중 과속, 휴대폰 사용금지 등이다.
아울러 12대 중대 안전수칙을 위반할 경우 즉시 작업을 중지, 작업장에서 퇴출 조치하는 'Zero Tolerance(무관용)' 제도와 12대 중대 안전수칙에 위반되는 작업을 지시받을 경우 안전확보를 위해 작업을 거부, 안전조치를 요청하는 '안전작업 수행불가 제도' 역시 눈길을 끈다.
삼성중공업도 2017년 안전관리 조직을 당초 '담당' 단위에서 '본부' 단위로 격상해 '안전경영본부'를 신설했다. 글로벌 안전관리 전문가를 안전경영본부장으로 선임했으며, 안전보건 총괄책임자인 조선소장을 비롯한 주요 임원들이 참여하는 '안전경영위원회'를 설치했다.
또 삼성중공업은 고용노동부 인증 외부 전문기관을 통한 모든 야드 안전진단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고위험 작업 사고 예방을 위한 전문화 교육장 조성 및 교육 강화, 안전의 날 행사 등 안전문화를 중시하는 新 안전문화 조성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고용노동부 역시 관리감독에 대한 책임론을 의식한 듯 현대중공업의 잇따른 사고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울산고용노동지청 감독관은 전날 울산조선소를 살펴봤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대책 마련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