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심위 권고 이후 경영-회계 전문가 불러 조사일부 조사 과정서 무리한 추궁과 압박 이뤄져 논란검찰 신뢰 회복 위해 '이재용 불기소' 권고 따라야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검찰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승계 의혹과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무리한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26일 법조계와 재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는 최근 이재용 부회장에 대한 기소 여부를 결정을 위한 보완조사 명목으로 경영·회계 전문가들을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6월 26일 대검찰청 수사심의위원회는 이재용 부회장에 대해 불기소 권고와 수사 중단을 결정한 바 있다. 그러나 검찰은 두달이 지나도록 결정을 미루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검찰이 추가 조사를 진행하며 논란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특히 조사 과정에서 검찰과 배치되는 의견을 가진 전문가들에게는 무리한 추궁과 압박이 이뤄졌다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이번 조사 대상자에는 경영권 승계와 이를 위한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의혹에 대해 지지나 반대 의견을 가진 전문가들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인사들은 전문가 관점에서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하면 된다는 생각에 조사에 응했지만 검찰이 의견 청취보다는 주장을 관철시키기 위한 압박감을 느꼈다는 전언이다. 

    이와 관련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대학 교수는 지난달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관련 메일을 게재하며 검찰의 조사 요청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병태 교수는 "삼바 사태에 대해 기소심의위원회가 압도적으로 수사 중단을 결정했는데 삼바 사태가 분식회계가 아니라는 글을 썼거나 발표했던 교수들을 부르고 있다"며 "들리는 바로는 의견을 듣는 것이 아니라 왜 삼성을 위해 이런 의견을 냈냐는 식의 질문으로 하루 종일 잡아둔다고 한다"고 했다. 

    법조계와 학계에서는 검찰이 기소 강행을 위한 명분 쌓기라는 지적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검찰은 무리수를 거두고 수심위 권고를 따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특히 미·중 무역전쟁, 일본과의 통상마찰 등 대외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아지는 상황에서 사법리스크까지 지속될 경우 삼성의 이미지 및 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재계 관계자는 "지난 4년 동안 재판에 시달리면서 직원들의 피로감도 상당할 것"이라며 "사법리스크로 발목이 잡힐 경우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력 하락이 우려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