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간 성장불균형, 디커플링 아닌 지속 가능성단기적으로 취약계층에 정책 여력 집중해야디지털경제로 전환…경제이익 사회에 공유
  • ▲ 한국은행은 21일 코로나19 위기 이후 국가간, 국가내 부문간 충격이 차별화돼 고용없는 경기회복이 올 수있다고 경고했다.ⓒ한국은행
    ▲ 한국은행은 21일 코로나19 위기 이후 국가간, 국가내 부문간 충격이 차별화돼 고용없는 경기회복이 올 수있다고 경고했다.ⓒ한국은행
    한국은행은 21일 코로나19 위기 이후 국가간, 국가내 부문간 충격이 차별화돼 고용없는 경기회복이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자리 비중이 높은 업종에 피해가 커 고용회복이 더디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코로나19 위기 이후 성장불균형 평가'에서는 최근의 국가간 성장 불균형이 일시적인 디커플링 현상이 아니라 상당기간 지속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코로나19로 국가 간에는 성장불균형, 국가내에서는 부문간 격차확대 및 실물-금리간 괴리가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선진국과 신흥국 간에는 ▲방역관리 ▲재정여력에 따라 충격이 차별화됐다. ICT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들의 회복세가 빨랐다. 

    국가내로 살펴보면 보건위기에 취약한 대면서비스업의 매출, 고용 충격이 집중됐다. 실물경제 부진에도 주가 등 금융부문이 빠르게 반등했다.

    한국은행은 "우리 경제도 대면 서비스 매출, 고용, 중소기업 생산, 저소득층가계 근로소득 등이 상대적으로 크게 줄어드는 비대칭적 충격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성장불균형은 단기적으로 경기회복을 지연시키고 체감경기를 악화시킬 것으로 분석했다. 

    코로나19 영향이 지속될 경우, 취약계층의 부진이 심화돼 실업이 늘어나고 시장 자산가격 하락까지 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경우, 경제 충격이 금융부문으로까지 전이될 수 있다.  

    한은은 "중장기적으로 부문간 불균형과 양극화가 고착화되는 경제 이중구조가 심화돼 성장기회의 불평등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단기적으로 코로나19 충격에 취약한 부문과 계층에 정책여력을 집중하고 중장기적으로 디지털경제 전환 과정서 발생한 경제적 이득이 사회 전반에 폭넓게 공유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