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 개시 보류 신청… 3개월 벌어협력업체 219곳-관련 종사자 5만명 '위태''유동성 해결-대출연장-새 투자자 물색' 삼박자 맞아야
  • ▲ 쌍용자동차 티볼리 ⓒ뉴데일리DB
    ▲ 쌍용자동차 티볼리 ⓒ뉴데일리DB
    11년 만에 기업회생 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한 쌍용자동차의 ‘생존시계’가 빠르게 돌아가고 있다. 생사의 기로에서 법정관리 개시 보류 기간인 3개월 안에 새 투자자를 찾고 유동성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놓였다.

    외부의 도움 없이 현 위기를 타개하기 어려워 최악의 경우 협력업체 219곳, 약 5만명의 ‘도미노 실직’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쌍용차는 지난 21일 이사회를 열고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다고 공시했다. 2009년 당시 중국 상하이차의 악몽에 고통을 겪은 지 11년 만이다.

    쌍용차는 산업은행에서 빌린 900억원, 우리은행 대출 150억원의 만기가 돌아왔지만 갚지 못했다. 여기에 JP모건 등 외국계 은행 3사 대출 600억원도 제때 상환을 못해 연체 중이다.

    다만 쌍용차는 법정관리 개시 보류 신청으로 3개월의 시간을 벌었다. 법정관리 개시 보류는 법원이 채권자의 의사를 확인한 뒤 회생 절차 개시를 연기해 주는 제도다. 기간은 최초 1개월이고 진척 상황에 따라 추가 2개월 연장(최대 3개월)할 수 있다.

    법원은 “쌍용차가 이해 관계자와 합의 논의를 하도록 기다리기로 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쌍용차로서는 벼랑 끝에서 일단 한숨을 돌릴 수 있게 됐다. 당장 채무를 변제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대출 상환 부담에서 벗어나 자산 매각, 판매 확대, 새 투자자 확보 등 경영 정상화에 집중할 수 있다.

    3개월 이내에 새 투자자를 찾거나, 채권자가 대출 만기를 연장해줄 경우 회생 절차를 취소할 수도 있다.

    쌍용차 관계자는 “법정관리 개시 전 유동성 문제를 마무리할 계획”이라며 “이해 관계자 조정에 합의하고 새 투자자와의 협상을 끝내 기업회생 신청을 취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대주주 마힌드라 역시 책임감을 갖고 쌍용차의 경영 정상화에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힌드라는 지난 8월부터 미국 업체인 HAAH오토모티브홀딩스와 쌍용차 지분 매각 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 진전은 없는 상태다.

    만약 끝내 투자 유치에 실패하면 쌍용차에 대한 회생 개시가 진행된다. 법원은 계속기업가치와 청산가치를 비교한다. 계속기업가치가 높다면 채권자 손실 분담과 대규모 인력 감축 등 구조조정에 들어간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부품업체의 줄도산이 우려된다. 

    지난해 기준 쌍용차에 부품을 납품하는 업체는 219곳에 달했다. 납품액 규모는 1조8088억원으로 집계됐다. 쌍용차 매출액(국내 기준) 대비 부품업체의 납품액 비중은 49.9%로 매우 높다.

    채권이 동결되게 되면 존 납품 대금을 지급받을 수 없게 되고, 협력업체의 위기를 넘어 차 산업 생태계와 지역경제가 모두 흔들릴 위기에 몰릴 수 있다는 것이다.

    한 관계자는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건 2차, 3차 협력업체”라며 “기간산업 생태계 유지 등을 위해 적극적 리스크(위험) 관리가 필요하다”고 우려했다. 규모가 작아 기초체력이 떨어지는 만큼 수개월을 버틸 힘이 없다는 이유에서다.

    쌍용차는 2016년 4분기(10~12월) 이후 15분기 연속 적자 늪에 빠졌다. 지난 3분기(7~9월) 영업손실은 931억원, 누적 적자 규모는 3089억원으로 나타났다. 삼정회계법인은 분기 보고서에서 “유동부채가 유동자산을 5206억원 초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환 능력을 상실한 상태에서 올 4분기마저 감사 의견이 거절될 경우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한다. 쌍용차는 신차 부재 등으로 올해 1~11월 국내외 판매는 9만6863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11만9876대) 대비 19.3%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