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GM 이어 기아도 강성노조파업 등 노조리스크 현실화 우려온라인 판매 반대, 전기차 전용공장 주장
  • ▲ 기아도 최근 노조 집행부 선거에서 강성 후보가 당선됐다. ⓒ연합뉴스
    ▲ 기아도 최근 노조 집행부 선거에서 강성 후보가 당선됐다. ⓒ연합뉴스
    현대자동차, 한국GM에 이어 기아에도 강성 노조 집행부가 들어선다. 노조는 사측에 ‘완전월급제’를 비롯해 기본급 인상, 고용 안정 등을 강력하게 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내년 노조리스크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5일 열린 금속노조 산하 기아지부 27대 임원선거 2차 결선투표 결과 홍진성 후보가 당선됐다. 홍 당선인은 기아 노조 내부에서도 강성으로 분류된다. 지난 2000년 기아에 입사했으며, 민주노총 대위원, 금속노조 중앙의원, 기아지부 대의원 등을 역임했다. 

    홍 당선인은 이번 선거에서 완전월급제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기존 임금체계인 시급제와 달리 잔업(OT) 30시간을 기본 적용한다. 잔업을 하지 않아도 월 30시간치 수당을 확보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또한 경기 광명 소하리 공장을 전기차 공장으로 만들고, 차량 온라인 판매를 막아 판매사원의 일자리를 보장하겠다고 주장했다. 

    이달 초 현대차와 한국GM에서도 강성 노조 지도부가 들어섰다. 이달 8일 실시된 현대차 노조 9대 지부장 결선투표에서는 안현호 후보가 당선됐다. 안 당선인은 이번 선거에 출마한 4명의 후보 중 가장 강성으로 평가받았다. 

    안 당선인은 이번 선거에서 ‘노사 협조주의 청산, 강력한 민주노조’ 구호를 내결었다. 아울러 ▲상여금 전액 통상임금 적용 ▲정년 연장 ▲4차 산업혁명 고용대책 마련 ▲식사시간 1시간 유급화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 ▲ 강성 노조의 등장으로 파업 등 노조리스크가 점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해 7월 현대차 노조 임시 대의원회 모습. ⓒ연합뉴스
    ▲ 강성 노조의 등장으로 파업 등 노조리스크가 점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해 7월 현대차 노조 임시 대의원회 모습. ⓒ연합뉴스
    지난 7~8일 한국GM 2차 결선투표에서 당선된 김준오 후보는 부평1공장 트레일블레이저 단종 이후 신차 배정, 부평2공장 1교대 유지 및 전기차 유치, 기본급 인상 및 월급제 실시 등을 공약했다. 

    르노삼성자동차의 경우 박종규 지부장은 지난해 11월 노조위원장 선거에서 연임에 성공했다. 박 지부장은 지난 2011년 기존 노조와 별도로 민주노총 르노삼성 지부를 설립했고 지난해 9월에도 민주노총 가입을 추진하면서 강성으로 평가된다. 

    현재 법정관리 중인 쌍용자동차를 제외한 4개 완성차 업체 모두 강성 노조로 구성됐다. 이에 따라 내년 임단협 과정에서 파업 등 노조리스크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아이오닉5, EV6 등 전용 전기차 모델을 연달아 출시했고, 2026년까지 전기차 글로벌 연간 판매목표를 기존 100만대에서 160만대로 상향 조정했다. 전동화 드라이브를 추진해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르노삼성과 한국GM은 내수판매 부진이 지속되면서 위기 상황을 맞고 있다. 게다가 본사로부터 신차 배정이나 추가 투자를 받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노사관계가 절실하다. 

    이런 중요한 시점에서 노사대립이 심화된다면 완성차 업계의 경쟁력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전동화 전환이나 고용불안으로 인해 강성 노조가 선거에서 선택받았다”면서 “노조가 과도한 요구안을 고수한다면 결국 노사 모두 공멸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