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떠나는 外人, 시총비중 31%… 6년來 최저2주새 5.7조 순매도… 안전자산 선호성향 '뚜렷'원화약세 → 수급부담 → 환율급등… '악순환'
-
외국인 투자자의 매도 행렬에 외국인이 보유한 코스피 주식의 시가총액 비중이 6년여 만에 최저 수준으로 줄었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유가증권시장 전체 시총은 2091조원, 이 가운데 외국인 보유 주식 시총은 666조원이다.
시총 기준, 외국인이 보유한 주식 비중은 31.86%다. 이는 2016년 2월 11일의 31.77% 이후 6년 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코스피 외국인 시총 비중은 2020년 초 40%에 육박했다. 이후 코로나19 사태와 개인 주식 투자 열풍 등에 2020년 말 36.50%, 2021년 말 33.55%로 줄었다.
올해 들어서는 LG에너지솔루션 상장을 앞둔 1월 25일에 34.20%까지 늘었다가 다시 감소세로 전환했다. 지난 8일(31.95%)부터는 31%대를 유지하고 있다.
외국인 시총 비중 축소는 외국인의 주식 매도 영향이 크다.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가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닫기 시작한 지난달 중순부터 매도 공세가 거세졌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2월 18일부터 3월 11일까지 14거래일간 5조7532억원을 순매도했다. 이 기간 단 이틀(2월 28일·3월 3일)을 제외한 12거래일이 매도 우위였다.
외국인이 지난 1월 순매도한 금액이 1조4617억원이고, 2월에는 17일까지 2조3130억원 매수 우위를 보인 점에 비춰보면 최근 매도 규모가 눈에 띈다.
외국인 매도 배경으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이에 따른 서방 국가의 대(對)러시아 제재가 촉발한 위험자산 회피와 원화 약세가 꼽힌다.
안전자산 선호 심화로 달러 강세에 속도가 붙으면서 최근 원달러 환율은 2020년 5월 이후 1년 9개월 만에 1230원대를 돌파했다.
원달러 환율 급등은 외국인 수급에 악재로 작용해 주가를 끌어내리고, 다시 환율 급등을 부르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전규연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안전통화에 대한 선호가 커지면서 신흥국 통화지수가 크게 하락했고, 한국 5년물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도 연초 21.6bp(1bp=0.01%포인트)에서 35.4bp까지 상승했다"고 전했다.
이어 "국내 경기와 수급 여건도 우호적이지 않다"며 "한국 2월 무역수지가 흑자 전환했으나 직전 2개월 적자 규모를 고려하면 달러 유동성이 줄고 있으며, 외국인의 주식 매도세도 원화 약세 요인"이라고 밝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예고도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 증시에 부담을 준다. 선진국 금리 인상은 글로벌 자금의 신흥국 이탈을 부추기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전쟁과 유가 급등으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지만 연준 금리 인상 전망에는 큰 변화가 없다"며 "지난해 일시적 인플레이션 판단을 고수하다가 신뢰도 위기에 봉착한 연준이 인플레이션 통제 의지를 강하게 내비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연준의 통화 긴축 가능성이 별반 완화하지 않는 가운데 커지는 경기 둔화 우려는 안전자산 선호를 높이며, 초안전자산인 달러 강세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