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의 한계… 격리 10일 후 심정지 문제 등 발생‘확진자 기피’ 아닌 응급의료체계 과부하가 원인고위험군 조기 치료로 위중증·사망자 억제가 선결과제
  • ▲ ⓒ뉴시스
    ▲ ⓒ뉴시스
    정부가 코로나19 확진자를 적극 수용하는 응급의료센터에는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여기엔 확진자를 받을 수 있는데도 일부러 거부하는 곳이 많다는 의미가 내포됐다. 

    응급의료진의 번아웃은 물론 감염에도 취약한 상태인데 ‘확진자 기피’라는 오명이 씌워지게 된 것이다. 문제의 원인은 재택치료자가 급증하고 또 응급 환자가 되는 상황 때문으로 코로나19 진료체계를 바꾸지 않고서는 이번 유인책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분석이다.

    최근 중앙사고수습본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8일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코로나19 확진자 응급 내원 수는 163명이었던 데 반해 이달 13일에는 1796명으로 급증했다. 응급의료체계는 제한적인데 점차 이 수치는 늘어날 전망이다. 

    대다수 국내 감염병 전문가들은 확진자 발생 정점에 진입한 이후 2~3주 후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제 본격적으로 사망자가 증가하는 시점이 됐고 24일 0시 기준 사망자는 470명으로 집계돼 이를 증명하고 있다. 

    사망자 중 위중증 환자로 구분돼 관리를 받은 것이 아니라 재택치료 도중 사망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또 경증에서 위중증으로의 이환을 방어하지 못해 응급실로 이송되는 경우도 많은 상황이다. 

    24일 경기권 소재 대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어제 확진 후 10일이 지나 격리까지 풀린 할머니가 심정지 상태로 응급실에 방문했다. 처치를 할 수가 없는 상태였고 사망선고를 내렸다. 정부 방침대로 재택치료를 했지만 상황이 악화된 것”이라고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그는 “서울부터 돌고 돌아 경기권으로 오게 된 것인데, 확진자가 몰려 수용할 공간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거부 또는 기피가 아니라 격리병상 부족, 감염관리 문제, 코로나 외 응급환자 대응 등 여러 구조적 문제가 맞물린 것”이라고 진단했다. 

    즉, 코로나19 확진자 분류와 이송체계가 명확하지 않아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인데 응급의료센터가 이를 거부해 확진자가 방문하지 못한다는 탓으로 돌아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장은 “‘확진자 기피’라는 내용이 나오는 것은 코로나19 최일선에서 대응하고 있는 응급의료진의 희생을 모독하는 행위로 비춰진다. 정부는 평가상 인센티브를 주겠다는 것이 아니라 응급의료 역량을 늘리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지금이라도 당장 세분화된 확진자 분류를 통해 고위험군부터 실질적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조처를 해야 한다. 적절한 초기 대응없이 모두를 재택치료에 몰아넣어 잠재적 응급환자를 늘리는 것은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인수위 코로나특위가 심도 있게 고민 중인 ‘고위험군 패스트트랙’. ‘대면 외래진료 활성화’와도 맞물린 부분으로 해석된다. 코로나 확진자를 대상으로 적극적 치료를 진행해 응급실 방문이나 중환자 병상 입원 자체를 줄이자는 의미가 담겼기 때문이다. 

    응급의료진도 병상도 부족한 상황에서 응급의료기관 평가 인센티브를 유도책으로 설정한 정부의 방침을 두고 부정적 의견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