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아비커스 ‘레저보트 자율운항 시연회’ 개최20분간 2.5km 항해…알아서 장애물 피하며 순항대형상선 이어 레저보트 자율운항 솔루션 상용화
-
“자율운항시스템 ‘나스(NAS) 2.0’에 항구를 중심으로 2.5km 경로를 지정해뒀습니다. 여러분이 탑승한 이 보트는 마치 ‘바다 위 테슬라’처럼 20여분간 정해진 항로로 자율운항하게 됩니다.”지난 12일 오후 인천 중구 왕산마리나 앞바다에서 이준식 아비커스(AVIKUS) 자율운항 팀장의 안내에 따라 제어 태블릿의 ‘▶’ 표시를 누르자 10인승 레저보트가 물살을 힘차게 가르며 나아갔다.‘아비커스 2호’로 명명된 이 보트는 아비커스가 자체 개발한 레저보트 자율운항시스템 ‘나스 2.0’과 자동접안시스템 ‘다스(DAS) 2.0’을 탑재하고 있다. 미리 입력한 항해 정보에 따라 카메라와 인공지능(AI)이 주변 여건을 분석하며 순항했다. 수많은 부표를 감지해 피해가고, 다른 선박과의 충돌하지 않기 위해 항로를 수정하기도 했다.보트는 운항 중 까다로운 과정으로 꼽히는 접안도 스스로 해냈다. 6대의 카메라를 통한 서라운드 뷰(surround view)와 라이다(LiDAR), AI를 활용해 주위 상황을 파악한 후 선체를 움직여 안정적으로 접안했다. 선착장과 보트 사이의 간격도 세세하게 조정해 탑승자가 편안하게 하선하도록 도왔다.
-
아비커스는 현대중공업그룹의 자율운항 선박 전문 스타트업으로 2020년 12월 그룹의 ‘사내벤처 1호’로 설립됐다. 지난해 6월 국내 최초로 12인승 크루즈 선박의 완전 자율운항을 해냈고, 지난달에는 세계 최초로 18만입방미터(㎥)급 초대형 선박의 자율운항 대양횡단에 성공했다.정기선 HD현대 사장은 신사업 중 하나로 선박 자율운항을 지목하고 그룹 차원에서 아비커스를 전폭 지원하고 있다. 자율운항 기술은 해상 운송업계의 인력난 해소, 휴먼에러의 원천 제거를 통한 안전성 제고, 오염물질 저감 등이 가능해 미래 해상 모빌리티의 혁신기술로 꼽힌다.아비커스가 이날 시연한 솔루션은 ‘자율운항 레벨2’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용화가 추진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을 운항하는 선원의 의사결정을 보조적으로 지원하는 것을 ‘레벨1’, 선원이 탑승하되 원격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을 ‘레벨2’로 정의하고 있다.아비커스는 우선 1·2레벨의 자율운항 시스템을 상용화하고 향후 선원 승선 없이 원격제어하는 ‘레벨3’, 완전 무인으로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조치하는 ‘레벨4’ 시스템 시장을 선도해간다는 방침이다.임도형 아비커스 대표는 시연회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6월 진행한 자율운항 대양 횡단의 결과 증명서를 받아 하반기 ‘하이나스 2.0(대형 상선용 2단계 자율운항 솔루션)’을 상용화할 것”이라며 “레저보트 솔루션도 올해 미국 보트쇼에서 선보이고 내년에 상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아비커스는 국내외 자율운항 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아비커스는 지난해 레벨1 기술에 해당하는 항해지원시스템 ‘하이나스(HiNAS) 1.0’과 접안지원시스템 ‘하이바스(HiBAS) 1.0’ 등 자율운항 1단계 기술을 상용화해 페리·컨테이너선·유조선 등 상선용 솔루션 210건을 수주했다.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어큐트마켓리포트에 따르면 자율운항 선박과 관련 기자재 시장은 연평균 12.6%씩 성장해 2028년에는 시장 규모가 약 2300억 달러(3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아비커스는 특히 상선용뿐만 아니라 레저보트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임 대표는 “레저보트는 전 세계에 1000만척이 넘고, 연간 20만척씩 생산돼 규모가 상당하다”며 “선주 대부분 경제적 여유가 있고 신기술을 받아들이려는 의지가 크다. 아비커스가 퍼스트무버가 될 것”이라고 기대를 내비쳤다.올 10월 미국에서 열리는 국제 보트쇼를 겨냥한 것도 이 때문이다. 임 대표는 “레저보트 문화를 가진 미국에 전 세계 레저보트 50%가 몰려있다”며 “사실상 미국 사람 10명 중 1명이 레저보트를 가진 셈으로 미국시장 진입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아비커스의 궁극적인 목표는 4레벨에 해당하는 완전 자율운항 분야에서 선두주자가 되는 것이다. 현재 국제적으로 자율운항 선박 표준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로, 표준화 기술을 확보하고 실증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확보하는 쪽이 시장 패권을 쥐게 될 전망이다.임 대표는 “IMO의 현재 법에 따르면 대형 선박에는 반드시 사람이 승선해야 한다. 최소 2030년이 돼야 대형선 자율운항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며 “미국선급협회(ABS), 정부 등과 협력해 자율운항 선박의 표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