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CJ GLS 합병·출범 이후 매년 최대 실적2030년 창립 100주년까지 '글로벌 경쟁력 강화' 총력
  • ▲ ⓒCJ대한통운
    ▲ ⓒCJ대한통운
    CJ대한통운이 2013년 CJ그룹과 통합 이후 10년 만에 매출액 3배, 영업이익 6배 성장을 이뤘다. 주력사업도 ‘하역·육상운송→택배→CBE·글로벌’로 진화했다.

    1일 CJ대한통운은 2013년 4월 CJ그룹 물류계열사와 합병해 통합법인으로 새로운 출발을 시작한지 10년을 맞았다고 밝혔다. 대한통운은 법정관리 중이던 2008년 금호아시아나그룹에 인수됐지만 2011년 말 CJ그룹으로 대주주가 바뀌었고, 2013년 4월 그룹 내 물류계열사 GLS와 합병하면서 CJ그룹 통합 물류 계열사로 변모했다.

    CJ그룹 합류 이후 CJ대한통운 매출은 2013년 3조7000억원에서 2022년 12조1000원으로 8조원 이상 늘었고, 영업이익도 641억원에서 4118억원으로 3500억원 가량 증가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10년 동안 매해 최대실적 기록을 경신했다.

    사업구조와 인력구성도 크게 바뀌었다. 주력사업이었던 계약물류(CL) 부문은 2013년 전체 매출의 절반을 차지했지만 지난해 비중은 4분의 1로 줄었다. 대신 28%였던 글로벌부문 매출 비중은 42%로 늘었다. 2013년 5억 상자였던 연간 택배취급량은 지난해 17억 상자로 증가했다. 직원수는 8400명에서 2만명으로, 해외법인에서 채용 현지인 직원도 2900명에서 1만3700명으로 각각 늘었다.

    CJ대한통운 2016년 4000억원 이상을 들여 하루 170만 박스를 처리하는 ‘곤지암 메가허브터미널’을 착공했다. 아울러 ‘글로벌 공급망(SCM)’에 주목해 2013년 중국을 시작으로 미국, 인도,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글로벌 인수합병(M&A)을 통해 덩치를 키워 나갔다.

    2015년 인수했던 중국 로킨은 2021년 초 되파는 부침도 있었지만 이후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과 국경폐쇄로 인해 결과적으로 ‘신의 한수’가 됐다. 로킨을 재매각하며 얻은 1400억원대 차익은 신규 인프라 구축과 글로벌 확장의 토대가 됐다.

    CJ대한통운은 오는 2030년 창립 100주년을 앞두고 또 다른 변신을 준비하고 있다. 월드 클래스 기술을 토대로 세계적인 물류기업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는 각오다.

    택배 통합브랜드 ‘오네’ 기반 라스트마일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화주-차주 직접연결 플랫폼 ‘더운반’ 확대 ▲100조원 규모 초국경택배 시장 공략 ▲신성장국가 중심 글로벌 전략 등을 기반으로 초격차 경쟁력 강화와 신성장동력 육성에 속도를 더하기로 했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통합 이후 10년 동안 국내 1위를 넘어 글로벌 종합물류기업으로의 기반을 구축해왔다”며 “창립 100주년인 2030년까지 글로벌 메이저 플레이어로의 도약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