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강한 양자키분배(QKD), 확장성 뛰어난 양자내성암호(PQC) 시너지 기대국가정보원 암호검증모듈(KCMVP) 인증... 안정성·적합성 검증 완료SKT 및 국내 강소기업들과 컨소시엄 통해 양자 기술 고도화
  • SK브로드밴드는 양자키분배(QKD)와 양자내성암호(PQC)기술의 전용회선을 같이 제공할 수 있는 국내 첫 사업자(약관신고 기준)가 됐다고 5일 밝혔다.

    양자보안통신은 양자의 특성 중 하나인 불확정성과 복제가 불가능한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양자키분배와 양자내성암호 기술이 있다.

    양자키분배는 하드웨어 방식으로 송신자와 수신자가 각자 가진 양자키 분배장치를 활용하여 암호키를 동시에 생성해 물리적으로 해킹이 불가능하다. 반면, 양자내성암호는 해독하는 데 수억년이 소요되는 복잡한 수학적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다. 보안, 비용 효율 및 편리성 측면에서 양 기술은 상호 보완적인 기술로 평가된다.

    SK브로드밴드는 지난해 7월 양자키분배와 올해 6월 양자내성암호 전용회선 서비스의 약관신고를 완료했다. 국가기관·공공·의료·금융 등 대형 고객의 경우 보안성이 뛰어난 양자키분배 전용회선을, 중·소형 기업의 경우 별도 장비 설치 없이 저렴하고 확장성이 용이한 양자내성암호 전용회선을 선택할 수 있다.

    양자키분배와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통합한 서비스도 제공 가능해 보안성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다. 예컨대 은행 내부 데이터센터(내부망)에 양자키분배 기술을 제공하고, 고객의 스마트폰(모바일 단말)과 인증 서버(외부망)간 양자내성암호를 통해 전 과정에 암호통신을 적용해 생체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SK텔레콤과 공동 협력해 국가정보원 암호검증모듈(KCMVP) 인증을 받았다. SK브로드밴드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양자암호기술 관련 국책 과제에 2020~2023년까지 4년 연속 1위 사업자로 선정된 바 있다.

    SK브로드밴드는 국책사업 참여를 통해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국내 중소기업인 케이씨에스에서 자체 개발한 부품인 ‘양자암호원칩’을 활용해 드론의 4K 고화질 영상 서비스 제공 및 보안성 강화를 지원하도록 개발 예정이다.

    최승원 SK브로드밴드 ICT Infra 담당은 “국가기관 뿐 아니라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보호까지 필요한 공공·금융기관 등에 최적의 보안 서비스 제공에 앞장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