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소득 3년 만에 감소 … 대기업 성과급 감소 원인전체 가구소득 1.4% 올라 … 고물가로 실질소득 감소세1분위 가구소득 약 116만원 … 근로소득·이전소득 증가
  • ▲ 지난달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에서 직장인들이 출근하는 모습. ⓒ뉴시스
    ▲ 지난달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에서 직장인들이 출근하는 모습. ⓒ뉴시스
    지난 1분기 근로소득이 3년 만에 전년 동기간 대비 감소했다. 삼성전자 등 대기업이 실적 악화를 이유로 성과급 지출을 대폭 줄인 게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특히 1~4분위는 근로소득이 늘어났고, 소득 상위 20%에 해당하는 5분위에서만 근로소득이 전년보다 4% 줄어들면서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소득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직장인들이 받은 월급과 연말 성과급 등 월평균 근로소득은 329만1000원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간의 332만6000만원보다 1.1% 줄어든 것이다. 근로소득이 감소한 건 코로나 확산으로 고용이 위축됐던 지난 2021년 1분기 이후 3년 만에 처음이다.

    통계청은 지난해 삼성전자가 실적 부진을 이유로 성과급을 주지 않았고, SK하이닉스와 LG에너지솔루션 등도 성과급을 줄인 영향으로 근로 소득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대기업에 다니는 고소득 직장인들의 상여금 감소로 1분기에 5분위 근로소득은 806만7000원으로 전년보다 4% 줄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주요 대기업의 상여금 축소가 5분위 근로소득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1분기 전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전년보다 1.4% 늘었지만, 물가가 소득보다 더 크게 올라 실질 소득은 전년 대비 1.6% 줄었다.

    1분기 기준으로 실질 소득이 감소한 것은 지난 2021년 1분기(-1.0%) 이후 3년 만으로 2017년 1분기(-2.5%) 이후 7년 만에 최대 감소 폭이다. 특히 실질 근로소득은 3.9% 줄어들면서 지난 2020년 2분기(-5.1%)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을 보였다.

    반면,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5만7000원으로 7.6% 올랐다. 사업소득은 3.6% 줄었지만 근로소득(6.6%)과 이전소득(9.4%)이 소득 증가를 이끌었다. 기획재정부는 취업자 증가와 기초생보 보장성 강화 등으로 근로소득과 이전소득이 일제히 늘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