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벽식구조, 주상복합 무량판구조, 오피스빌딩 라멘구조
  • 층간소음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근본적인 해결책을 원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정부는 건축물을 지을 때 층간소음을 고려해서 설계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특히 건축물의 구조적인 부분에서 해결 방안을 찾으려는 움직임이 눈에 띈다.


  • ▲ 무량판구조(왼쪽), 벽식구조(가운데), 라멘구조(오른쪽) 도해.ⓒ금호산업
    ▲ 무량판구조(왼쪽), 벽식구조(가운데), 라멘구조(오른쪽) 도해.ⓒ금호산업

     

    건축물의 구조는 다양하지만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벽식구조, 무량판구조, 라멘구조다.


    벽식구조는 벽과 슬래브로 이뤄진 구조다.

    슬래브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바닥을 말한다.


    타 구조 대비 내부공간 활용이 용이하고 시공비가 저렴하다. 공사기간도 짧게 걸린다. 따라서 주로 공동주택(아파트, 빌라 등)에 적용된다.    


    하중은 슬래브에서 벽면을 거쳐 기초, 지반으로 흐른다.

  • ▲ 벽식구조.ⓒ금호산업
    ▲ 벽식구조.ⓒ금호산업

     

    무량판구조는 교량건설에 사용됐던 방식으로 플렛 슬래브구조로도 불린다. 기둥과 슬래브로 이뤄진 구조로 보가 없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층고확보에 유리하다. 대신 슬래브가 두껍다.


    기둥이 하중을 받아 기초를 거쳐 지반으로 흐르는 방식이다.


    주로 초고층빌딩이나 주상복합에 적용된다. 벽식구조보다는 시공비가 비싸다. 공사시간도 길다.

     

  • ▲ 무량판구조.ⓒ금호산업
    ▲ 무량판구조.ⓒ금호산업


    라멘구조는 슬래브에 보와 기둥이 더해진 구조다. 보가 있으므로 기둥간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어 실내공간을 넗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보가 들어가기 때문에 타 구조보다 시공비가 비싸고 공사기간도 길어진다.


    주로 건물 주차장이나 상업용빌딩 등에 적용된다.


    하중은 슬래브를 통해 보, 기둥, 기초, 지반으로 흐른다.

     

  • ▲ 라멘구조.ⓒ금호산업
    ▲ 라멘구조.ⓒ금호산업


    이 중 벽식구조가 층간소음 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다.


    층간소음에 가장 취약한 구조로 꼽히면서 아파트 건설에서 벽식구조를 배제해 달라는 요구가 일고 있기 때문이다.


    구조적으로 벽식은 소음이 전달되는 면적이 넓다. 위층 바닥에서 발생한 소음이 천정은 물론 벽면 전체에서도 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층간소음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벽식구조 대체로 떠오른 것은 무량판구조다. 공동주택 중에서도 주상복합에 사용되는 벽식구조는 소음이 기둥을 통해서 빠져나가기 때문에 벽식보다 덜하다는 것이다.


    실제로도 일반 아파트보다 주상복합이 층간소음 피해가 작다. 슬래브 자체가 두텁고 하중을 기둥이 받기 때문에 소음 전달이 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건설사들은 이에 대해 난색을 보이고 있다.

    높아진 시공비만큼 분양가도 높아지는 데 이 경우 고분양가로 인해 미분양 사태를 빚을 수 있어서다. 여기에 슬래브 두께가 두꺼워지면 그만큼 층수도 줄어 사업성도 떨어진다.

    또 집 안에 거대한 기둥이 들어간 구조이기에 실내공간 활용에 제한이 크다. 동일한 주택형임에도 주상복합이 일반 아파트보다 좁아 보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처럼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해 건축물의 구조를 바꾸는 것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건설사들은 벽식구조는 그대로 가면서 층간차음재 또는 슬래브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층간소음 저감 노력을 추진 중이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아파트에는 벽식구조가 가장 잘 맞다. 기둥이 집 중간에 떡하니 박혀있는 무량판구조나 천정에 보가 있는 라멘구조는 수요자들이 원하는 설계가 아니다. 여기에 최근 유행하는 소형임에도 중형같은 서비스면적도 나올 수 없다. 구조를 바꾸기 보다는 차음을 강화한 설계를 통해 해결하는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