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4구 재건축 아파트, '된서리' 박 시장 “서민 주거복지 강조”, 집 값 하락 당분간 계속
  • ▲ 서울 잠실의 한 재건축 아파트 단지.ⓒ 사진 연합뉴스
    ▲ 서울 잠실의 한 재건축 아파트 단지.ⓒ 사진 연합뉴스

    박원순 시장 취임 100일, 강남권 집값이 큰 폭의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의 뉴타운 출구전략과 재건축 소형 의무비율 확대가 현실화되면 재개발 , 재건축 시장 급랭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강남권 집값 하락은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런 현상이 강남 집값의 거품을 빼 부동산 시세를 실수요 중심으로 안정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란 시각도 있다.

    16일 부동산 114에 따르면 박 시장이 취임한 지난해 10월 마지막 주부터 취임 100일을 맞은 지난주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평균 0.87% 떨어졌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평균 가격 하락률은 034%를 기록, 내림새가 뚜렷했다. 특히 강남, 서초, 송파, 강동 등 강남 4구의 집값 하락이 두드러졌다.

    이 기간 동안 강남구는 1.75%가 내려 강남 4구 중에서도 가장 많이 떨어졌다. 뒤를 이어 송파구 1.32%, 강동구 1.23%, 서초구 1.01% 등의 하락률을 보였다. 박 시장 취임 이후 서울 25개 구 가운데 집값이 1% 이상 내린 것은 강남 4구를 제외하곤 없다.

    강남권 뒤로는 영등포구(0.85%)와 양천구(0.78%), 마포구(0.74%) 등이 비교적 높은 하락률을 기록했다. 반면 종로구(0.07%), 성동구(0.11%), 은평구(0.12%), 동대문구(0.15%) 등은 내림폭이 작았다.

    아파트 유형별로는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의 내림세가 가장 가팔랐다. 한 때 부동산 로또로까지 불리면 상종가를 쳤던 강남 4구 재건축 아파트들의 가격 변동률은 평균 –1.59%를 기록했다. 구별로는 강남구가 –2.29%, 강동구는 –2.19%를 기록하면서 급락했다.

    송파는 가락시영 재건축 아파트가 종상향으로 용적률이 높아진 덕을 봐 0.63% 떨어지는데 그쳐 강남 4구 중 재건축 아파트 시세 하락이 가장 적었다.

    한편 국민은행의 전국주책가격동향조사 결과는 박 시장 취임 후 서울 지역 집값 하락세를 더욱 극명하게 보여준다. 조사에 따르면 박 시장 취임 직후인 지난해 11월부터 올 1월까지 전국 주택가격은 0.36% 올랐으나 같은 기간 서울은 0.20% 떨어졌다.

    시장 관계자들은 재건축 아파트 소형 의무비율 확대, 주민 동의에 따른 뉴타운 지정 해제 등 재개발, 재건축에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는 박 시장의 주책정책 방향을 고려할 때 서울의 집값 내림세는 앞으로도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