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차입금 2.1조, 신용공여 1.3조 넘는 36개 기업 선정쿠팡‧호반건설‧에코프로‧셀트리온 4개 계열 신규 편입
  • ▲ ⓒ연합뉴스 제공.
    ▲ ⓒ연합뉴스 제공.
    현대자동차, 신세계, 쿠팡, 셀트리온 등 빚이 많은 36개 대기업집단이 올해 주채권은행의 재무구조 평가를 받아야 하는 ‘주채무계열’로 지정됐다.

    이들의 주채권은행은 주채무계열의 재무구조를 평가하고 개선이 필요하면 약정을 체결해 자구계획 이행을 점검하는 등 신용위험을 관리하게 된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말 기준 총 차입금이 2조1618억원 이상이고 은행권 신용공여 잔액이 1조3322억원 이상인 36개 계열기업군을 주채무계열로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은행업감독규정에 따르면 전년말 총차입금이 전전년도 명목 국내총생산의 0.1% 이상이고, 전년말 은행권 신용공여잔액이 전전년말 전체 은행권 기업 신용공여잔액 대비 0.075% 이상인 계열기업군을 주채무계열로 지정하도록 하고 있다.

    올해 주채무계열 수는 지난해(38개)보다 2개 줄었다. 쿠팡, 호반건설, 에코프로, 셀트리온 계열이 신규 편입(4개)됐고 현대백화점, 넷마블, DN, 세아, 태영, 대우조선해양 계열은 제외(6개)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셀트리온의 경우 계열사 합병 등을 위한 자금조달이 있었고 쿠팡, 에코프로, 호반건설은 신규 투자확대 등에 따른 차입이 증가한데 따라 주채무계열에 편입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대우조선해양은 한화계열로 피인수되며 제외됐다. 현대백화점, 넷마블, DN은 영업흑자 등으로 차입금을 상환해 빚 규모를 줄이면서 올해 주채무계열에서 빠졌다.

    올해 상위 5대 주채무계열은 총차입금 기준으로 SK, 현대차, 삼성, 롯데, LG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해 SK(2위→1위)와 현대차(1위→2위), 삼성(4위→3위)과 롯데(3위→4위)의 순위가 변동됐다.

    36개 주채무계열의 주채권은행은 우리은행이 11개로 가장 많고, 산업(9개), 신한(8개), 하나(5개), KB국민(3개) 순으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말 은행권 전체 기업 신용공여잔액은 1875조원으로 전년 말(1776조3000억원) 대비 98조7000억원(+5.6%) 증가했다. 36개 주채무계열의 지난해 말 은행권 신용공여액과 총차입금은 각각 338조9000억원, 641조6000억원으로, 전년 주채무계열(38개, 322조6000억원, 609조7000억원) 대비 각각 5.1%, 5.2% 증가했다.

    이 중 상위 5대 계열의 은행권 신용공여잔액과 총차입금은 각각 164조1000억원, 369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4%, 8.9% 늘었다. 

    36개 주채무계열의 소속 기업체 수는 4월 말 현재 6421개사로 지난해와 비교해 19개사가 감소했다.

    계열별 소속기업체 수는 한화(888사), SK(865사), 삼성(624사), 현대자동차(488사), CJ(406사), LG(338사), 롯데(297사) 순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주채권은행은 올해 주채무계열로 선정된 36개 계열에 대한 재무구조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정성평가시 재무제표에 반영되지 않은 잠재 리스크를 충분히 반영하는 등 엄정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해 대기업그룹의 신용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