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DB
    ▲ ⓒ연합뉴스 DB



    직업별로 사망률을 비교하면 전문직 종사자에 비해 농·어업과 노무직 등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의 사망률이 최대 2.7배 격차를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내 직업별 사망률에도 '부익부 빈익빈'이 존재한다는 분석이다.

    3일 이혜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팀과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직업건강연구실 김은아 실장팀에 따르면 국내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 1143만5937명을 대상으로 13년간 역학 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영국의 직업환경의학 분야 국제학술지(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2월호를 통해 발표했다.

    조사 기간은 지난 1995년부터 2008년까지이며, 조사 대상자를 성별로 구분하면 남자 548만2967명, 여자 327만9373명을 대상으로 직업군별 사망 여부와 사망원인을 조사했다. 다만, 고용보험 가입 대상이 아닌 공무원이나 공기업 종사자, 일부 소규모 사업자들은 제외됐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자를 한국표준직업분류에 따라 9개 그룹으로 나눠 직업군별 '연령표준화 사망률'을 계산했다. 연령표준화 사망률은 연령구조를 국가 인구구조로 표준화해 인구 10만명당 연간 사망자수를 산정한 개념이다.

    이번 연구 결과, 10만명당 사망률은 △농·어업 숙련 근로자(남 563명, 여 206명 등 총 769명) △단순노무직 근로자(남 499명, 여 163.4명 등 총 662.4명) △장치·기계조작원·조립원(남 380.3명, 여 157.8명 등 총 538.1명) △기능원·기능근로자(남 365.1명, 여 158.1명 등 총 523.2명) △서비스 근로자·상점과 시장판매 근로자(남 362명, 여 149.7명 등 총 511.7명) △기술공·준전문가(남 285.6명, 여 136.4명 등 총 422명) △입법자·고위임직원·관리자(남 252.8명, 여 122.3명 등 총 375.1명) △사무직원(남 249.7명, 여 115.7명 등 총 365.4명) △전문가(남 209.1명, 여 93.3명 등 총 302.4명) 등의 순으로 높았다.

    사망률이 가장 높았던 농·어업 숙련 남성 근로자와 가장 낮은 전문가 남성 직업군의 사망률 격차는 2.7배였다. 단순노무직과 전문직 간 사망률 차이에서도 남성들의경우2.4배로 증가했다.

    이처럼 직업군에 따라 사망률 격차를 보이는 것은 사고와 자살을 포함한 손상, 중독 등의 사망이 육체 노동자들에게서 더 많았기 때문이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실제로 이번 연구를 통해 단순노무직 근로자는 전문가 직업군보다 10만명당 남성 96.9명, 여성 21.6명이 손상과 중독으로 더 많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의 제1저자인 이혜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는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못하는 소규모 영세 사업장 근로자들이 포함되지 않았는데도 우리나라 직업군별 사망률에 큰 불평등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저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