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 선호지역 1위, 경기 2기 신도시 및 수도권 택지지구과천 지식정보타운·고양 향동 등 '관심 집중''내 집 마련' 목적, 지난해보다 커져… 과잉공급 우려는 여전
  • ▲ 올해 분양시 선호지역 설문조사 결과. ⓒ부동산114
    ▲ 올해 분양시 선호지역 설문조사 결과. ⓒ부동산114


    5월 조기대선과 금융권의 집단대출 규제 영향으로 건설사들의 분양 일정이 늦춰지는 가운데 10명 중 7명은 올해 아파트 분양을 받겠다고 응답했다. 대출 및 청약규제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계속 오르면서 분양을 통해 내 집 마련을 하겠다는 의사로 풀이된다. 분양을 받을 경우 선호 지역은 2018년까지 신규 공공택지 공급이 중단될 '경기 2기 신도시 및 택지지구'가 꼽혔다.

    4일 부동산114가 실시한 '2017년 아파트 분양시장에 대한 선호도'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539명 중 70.5%가 올해 아파트를 분양받을 계획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월세 거주자 249명 중 73.9%가 분양받을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자가 거주자' 중 분양 받겠다는 의사는 평균(70.5%)보다 낮은 68.7%로 집계됐다.

    아파트 분양을 받으려는 이유에 대해서는 △임대료 상승 부담에 따른 내 집 마련(32.4%) △높은 투자가치에 따른 전매 시세차익 목적(24.7%) △노후아파트에서 새 아파트로의 교체(18.9%) △면적 갈아타기(14.5%) △자녀 교육이나 노후를 위해 지역 이동(9.5%) 순으로 응답했다. 분양시장 호황을 누렸던 지난해 설문조사와 비교하면 '분양권 시세 차익 목적(28.7%)'은 줄어들고, '내 집 마련을 위해 분양을 받겠다(24.6%)'는 비중이 높아졌다.

    올해 아파트 분양을 받는다면 선호지역 1위는 '경기 2기 신도시 및 수도권 택지기구'가 25.5%로 응답률이 높았다. 2018년까지 대규모 공공택지 지정 중단으로 택지지구의 투자가치가 높아진 것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 ▲ 2017년 2기 신도시 및 수도권 택지지구 선호단지 설문조사 결과. ⓒ부동산114
    ▲ 2017년 2기 신도시 및 수도권 택지지구 선호단지 설문조사 결과. ⓒ부동산114


    이어 △서울 강남4구 외(22.9%) △서울 강남4구 재건축(12.6%) △지방·5대 광역시 혁신도시 및 택지지구(10.8%) △경기 기타 및 인천(9.7%) △부산 재개발(7.6%) △경기 과천 재건축(6.1%) 순으로 조사됐다.

    올해 청약할 의사가 있는 지역 중에서 선호 단지(복수 응답)는 경기 2기 신도시 및 수도권 택지지구(97명)에서 성남시 '고등지구'가 28.8%로 1위를 차지하고, 과천시 '지식정보타운(22.6%)'이 그 뒤를 이었다. 고양시 '향동 및 지축지구'와 남양주시 '다산신도시'는 20.6%의 응답률로 공동 3위에 올랐다.

    서울 강남4구 외 지역(87명)에서는 △마포 염리3구역(33.3%) △용산 국제빌딩주변 4구역(23.0%) △영등포 신길5구역(20.7%) △동작 상도역세권(19.5%) △서대문 북아현1-1구역(14.9%) 순으로 응답했다.

    경기 기타 및 인천(37명)에서 선호도가 높은 단지는 인천 '논현 푸르지오(27.0%)', 김포 '한강 매트로 자이(24.3%)', 부천 '송내1-2구역(21.6%)' 등이 20% 이상의 응답률로 뒤를 이었다. 경기 과천 재건축 아파트(23명)에서 선호 단지 1위는 별양동 '주공6단지'가 60.9%의 응답률을 보였다.

    부산 재개발 단지를 분양받겠다고 응답한 29명 중 응답률 1위는 동래구 래미안 '온천2구역'이 55.1%로 과반수의 응답률을 기록했다. 이어 부산진구 '전포2-1구역'이 34.4%, 동래구 '온천3구역'은 31.0%로 뒤를 이었다.

    지방·5대 광역시 혁신도시 및 택지지구(41명)에서 선호 단지는 △대구 북구 연경지구(43.9%) △부산 강서구 명지지구(22.0%)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17.1%)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반대로 분양 받을 계획이 없는 159명의 응답자는 '주택공급 과잉으로 인한 집값 하락 우려(37.7%)' 등을 이유로 꼽았다. 이어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국내 대출금리 인상 부담(24.5%) △정부 대출규제 강화에 따른 잔금 여신심사 강화(16.4%) △분양가격 조정 우려(11.9%) △강화된 청약규제 여파(9.4%) 순으로 집계됐다.

    부동산114는 4월3일부터 17일까지 15일간 홈페이지 방문자 539명을 대상으로 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