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까지 일부 정원 감축은 불가피
  • ▲ 지난달 10일 서울 강남구 강남구민회관에서 열린 유웨이중앙교육 주최 '2019 수시 입시 전략설명회'에서 수험생, 학부모 등이 수시 지원에 대한 강연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 지난달 10일 서울 강남구 강남구민회관에서 열린 유웨이중앙교육 주최 '2019 수시 입시 전략설명회'에서 수험생, 학부모 등이 수시 지원에 대한 강연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역량강화대학' 지정으로 강제 정원 감축 대상에 오른 대학 대부분이 조용히 2019학년도 수시모집에 진행하는 반면, '자율개선대학' 오른 대학들은 이를 강조하고 나서면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정원 감축 대상인 몇몇 대학은 '재정지원 제한대학'에 적용되는 불이익이 적용될 수 있다는 우려에 국가장학금, 학자금대출 지원 대상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10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발표된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전국 187개 일반대 중 '역량강화대학' 명단에는 30개교가 포함됐고, 이들 학교는 정원 10% 감축이라는 불이익을 받게 됐다.

    자율개선대학 120개교는 자율 정원 감축으로 사실상 기존 선발 인원을 유지할 수 있지만, 역량강화대학은 2021학년도까지 정원 줄이기(편제정원 1천명 미만 제외)에 나서야 한다.

    역량강화대학을 살펴보면 △가톨릭관동대 △건양대 △경남과학기술대 △경동대 △극동대 △남부대 △남서울대 △덕성여대 △동서대 △동양대 △목원대 △서울기독대 △서울한영대(옛 한영신학대) △세한대 △송원대  △수원대 △순천대 △연세대 원주캠퍼스 △예수대 △우석대 △위덕대 △유원대 △인제대 △조선대 △중원대 △청운대 △평택대 △한경대 △한국해양대 △한라대 등이다.

    2019학년도 수시모집이 이달 10~14일 대학별로 3일 이상 실시하는 가운데, 역량강화대학으로 지정된 학교들은 조용히 학생모집에 나서고 있다.

    재정지원 제한대학에 오른 대학들은 정원 감축과 더불어 국가장학금, 학자금대출 일부 또는 전면 제한된다. 반면 역량강화대학의 경우 정원 감축만 이뤄지기 때문에 굳이 알리지 않는 모습이다.

    A대학 관계자는 "신입생 국가장학금, 학자금대출 지원은 기존과 동일하게 지원 받기 때문에 학생모집에 문제가 없도록 입시를 진행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또다른 대학 측은 "정원 감축만 이뤄지기에, 신입생이 받을 불이익은 하나도 없다"며 말을 아꼈다.

    자율개선대학으로 지정된 학교들은 메인 홈페이지, 입학 사이트 등을 통해 정원 미감축 및 일반재정지원 등이 가능하다며 알리고 있어, 조용한 역량강화대학과 사뭇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역량강화대학 명단에 포함된 대학 중 몇몇 학교는 혹시나 하는 우려에서인지, 관련 사항을 홈페이지를 통해 안내하고 있었다.

    순천대는 공지사항을 통해 '역량강화대학은 국가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 제한이 없다'고 강조했고, 건양대는 총장 명의로 '역량강화대학은 정원 감축 부담이 있지만 국가장학금 수령 등은 문제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목원대는 정부재정지원·국가장학금 등이 가능하다는 부분을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평택대는 '신·편입생 국가장학금 I·II유형과 학자금대출 모두 지원 가능하다'고 설명했고, 덕성여대도 '국가장학금·학자금대출을 받는데 문제가 없다'고 안내했다.

    조선대는 '국가장학금, 학자금대출은 변함없이 지원된다'며 2019학년도 수시모집 신입생 지원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한 대학 관계자는 "역량강화대학 지정은 아무래도 좋지 못한 평가 결과다. 다만 학생에게 불이익이 없다면 관련 사항을 알리지 않을 것"이라며 "자율개선대학은 그만큼 대학이 역량을 갖췄다고 볼 수 있기에 수시모집에서 강조하는 분위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