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면, 배터리 성능 개선됐지만, '깜짝 혁신' 없었다"갤럭시, 화웨이 등 차별성 찾기 어려워…''아이폰X' 이은 판매부진 우려도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혁신의 아이콘으로 불리는 애플이 신제품 아이폰을 공개했지만 시장 반응은 시큰둥하다.

    이번 신제품은 성능 강화에 초점이 맞춰지며 눈에 띄는 혁신 기능을 찾기 힘들기 때문이다. 게다가 높게 가격이 책정되면서 전작인 '아이폰X'에 이어 판매 부진을 겪을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애플은 현지 시간 12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스티브 잡스 극장에서 신제품 공개 행사를 열고 아이폰 공개 행사를 열고 신형 아이폰 3종과 애플워치 4 시리즈를 선보였다.

    새 아이폰은 XS와 XS맥스, XR로 커진 디스플레이와 기존 아이폰X의 M자형 상단의 노치 디자인이 유지됐다.

    프리미엄 라인인 XS는 5.8인치 슈퍼레티나 디스플레이, XS맥스는 6.5인치 슈퍼레티나 디스플레이를 채택했다. 둘 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다.

    또한 전작과 같이 페이스 ID(안면인식) 기능이 장착됐고 처음으로 7나노칩을 심었다. 이 밖에도 배터리 용량도 최소 1시간30분 이상 늘린 것이 특징이다.

    판매가격은 XS가 999달러(113만 원), XS맥스는 1099달러(124만원)으로 각각 책정했다. XR은 749달러(85만원)다.

    시장에서는 이번 애플 신작에 대해 전작과 크게 달라진 부분이 없다는 반응이다. 깜짝 혁신은 올해도 없었다는 점에서 진부하다는 평가다.

    스마트폰의 대화면과 배터리 용량 등은 이미 갤럭시노트9을 비롯해 중국 화웨이 등의 신제품과 차별성을 찾기 어렵다. 

    이에 외신에서도 혹평이 쏟아지는 상황이다. 미국의 뉴욕타임스는 "아이폰이 더 커지고 비싸져 소비자들의 부담도 커졌다"고 평했다. IT전문매체 더버지는 "전작과 디자인은 다를 게 없고 차별점도 없다"고 평가절하했다.

    여기에 출고 가격이 크게 높아진 점도 지적이 나온다. 아이폰 신제품 3종은 전작 대비 약 20% 정도의 가격 인상이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전작인 아이폰X'가 1000 달러에 판매되며 고가 논란이 있었던 점을 감안하며 소비자 부담은 더욱 늘 것으로 판단된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말 '아이폰X' 출시로 매출이 크게 늘어난 점을 들어 애플이 고가 전략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애플은 지난해 4분기 아이폰 판매량 감소에도 매출이 883억 달러(94조7459억원)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한 바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스마트폰 시장 둔화가 뚜렷해지는 상황에서 애플의 고가 전략이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라며 "스마트폰의 기술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이같은 성향은 갈수록 뚜렷해 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