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 10명 만장일치 결정…세차례 인하 행진 멈춰파월 의장 "美 인플레이션 낮아 인상 필요성 적어"
  • 올해 세 차례 연속 기준금리 인하 행진을 이어가던 미국이 이번에는 동결을 택했다.

    이 상태 그대로 내년에도 동결모드로 전환해 당분간 현 수준을 유지해나갈 가능성이 높다고 시사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11일(현지시간)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행 1.50~1.75%로 유지하기로 했다.

    금리 동결 배경에는 미·중 무역분쟁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남아있으나 미국의 경제상황과 노동시장 여건이 상대적으로 양호하고, 낮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고려할 때 금리를 변화시킬 유인이 적다고 판단한 데 따른다. 

    연준은 성명서를 통해 "현 통화정책 입장이 경제 활동의 지속적 확장과 강력한 노동 시장 여건, 대칭적인 2% 목표치 근처의 인플레이션을 지원하기에 적절하다고 판단해 금리를 유지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노동시장은 여전히 강하고, 경제활동도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며 "일자리는 최근 몇 달간 평균적으로 견고했고, 실업률은 낮게 유지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또한 "가계 지출이 빠른 속도로 증가했으나 기업 고정투자와 수출은 여전히 약한 상태"라며 "12개월 기준 전반적인 인플레이션과 식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이 목표치 2%를 밑돌고 있다"고 진단했다.

    연준은 지난 7월 기준금리를 2.25~2.50%에서 2.00~2.25%로 인하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 7개월 만의 첫 금리 인하였다. 이후 9월과 10월에도 각각 0.25%포인트씩 내렸다.

    세 차례 인하 결정 때에는 연준 의원 의견이 분분했으나 이번 동결은 10명 위원 모두 찬성표를 던져 만장일치로 결정됐다. 

    FOMC 위원들의 향후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점도표를 보면 내년에도 금리 동결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투표권이 없는 위원들을 포함해 총 17명의 위원 중 13명이 내년 동결을 전망했고, 4명은 0.25%포인트 인상을 예상했다. 추가로 금리 인하를 전망한 위원은 한 명도 없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현재 경제 상황에서는 금리 인상 필요성이 적다"며 "역사적으로 낮은 실업률에도 불구 미국의 낮은 인플레이션은 중앙은행에 대한 금리 인상 압력을 감소시킨다"고 당분간 동결기조를 시사했다.

    이어 "금리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이고 의미 있는 인플레이션이 나타나기를 원한다"라며 "현재로서는 전망에 변화가 있을 때까지 연준의 기준금리는 적절하며 계속 유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