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고도 드론 통신 프로토콜' 국제표준 과제 채택표준안 제정으로 드론 운용의 안전성 개선 예상
  • 앞으로 이종(異種) 드론끼리 정보 공유가 가능해져 드론 운용의 안전성이 개선될 전망이다.

    2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ISO·IEC JTC1·SC6(시스템 간 통신 및 정보교환)' 국제표준화회의에서 우리나라의 '저고도 드론 간 통신 프로토콜'이 국제표준 과제로 채택됐다.

    저고도 드론 간 통신 프로토콜은 ▲드론 통신모델 및 요구사항 ▲공유통신 ▲제어통신 ▲비디오통신 등 4개의 프로젝트로 구성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도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등과 사용주파수 협의를 거쳐 2022년경 국제표준으로 제정될 전망이다.

    기존에는 드론 제조사마다 통신 규격이 서로 달라 이종 드론 간에는 정보 교환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근접 비행 시 드론 간에 충돌 위험이 존재했으며, 여러 대의 드론들을 동시 비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해당 표준안이 제정되면 드론 간에도 장애물 위치 공유 등 정보가 실시간으로 이뤄져 장애물과의 충돌을 자율적으로 방지하는데 도움이 예상된다. 가령 넓은 농지에 농약을 동시에 살포하는 등의 목적을 위해 다른 제조사가 만든 여러 대의 드론들을 동시에 운용하는 게 가능해진다.

    또한 드론 간에 적용되는 직접적이고 독자적인 통신방식을 통해 통신방식(Wi-Fi, LTE 등)의 단점도 보완될 전망이다. 취미용 드론에 주로 사용하는 Wi-Fi는 통신의 불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근거리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상업용 드론에서 주로 사용하는 LTE는 통신사에 요금을 내야한다. 즉 기지국이 설치되지 않은 오지나 바다 등에서는 드론을 운용할 수 없었다.

    강신각 전자통신연구원 표준연구본부장은 "이번 표준안 제정에 따른 통신호환성을 통해 보이지 않는 거리에서의 드론 운용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