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산은에 제출… 인력·노선 운영방안 전반MRO·우주산업 등 신사업 성장성 강조독과점·운임인상·구조조정 우려 불식도
  • ▲ ⓒ 연합뉴스
    ▲ ⓒ 연합뉴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내일 산업은행에 제출하는 통합계획서에는 전체 개괄이 담길 예정이다.

    인력과 노선 등 운영방안과 신사업 성장방안, 독과점과 구조조정 우려를 불식시키기 원칙적 입장들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앞서 대한항공은 8000억원을 투자하는 산업은행에 17일까지 통합 계획서를 제출하기로 한 바 있다.

    첫 번째 주요 내용은 ‘신사업’으로 가닥이 잡혔다. 최대 채권자인 산은의 투자 명분을 위함으로 기존 여객사업 외 화물, 정비(MRO), 우주산업 등 신사업 성장성을 강조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지난해 실적이 제시된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2383억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코로나19 여파로 여객 수익이 70% 가량 감소했지만, 화물 확대와 인건비 등 고정비 축소로 예상치를 뛰어넘는 흑자를 냈다.

    신사업 고용 창출과 MRO 경쟁력도 부각된다.

    현재 대한항공을 제외한 다른 국적사는 정비 물량을 외부에 맡기고 있다. 이중 상당수는 대한항공 MRO가 맡고 있다. 안정적인 수익창출이 가능한 사업으로 지난해 유동성 확보를 위한 매각 대상에서도 제외됐다.
  • ▲ 대한항공-아시아나 기업 개요 ⓒ 김수정 그래픽 기자
    ▲ 대한항공-아시아나 기업 개요 ⓒ 김수정 그래픽 기자
    두 번째 키워드는 ‘우려 불식’이다. 딜 초기부터 제기됐던 독과점, 구조조정에 대한 명확한 입장이 담긴다.

    양사 합병 시 다수 장거리 노선을 독점하게 돼 운임인상과 같은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게 일각의 우려다.

    계열 LCC인 진에어를 중심으로 에어부산, 에어서울을 합한 통합 LCC를 고려할 경우 점유율은 더 높아진다.

    대한항공은 외항사 경쟁 등 시장특성 반영 시 독과점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합병 계획서에서도 노선 점유율이 아닌 슬롯(비행 시간대, 운항 횟수) 기준 점유율을 강조할 것으로 전해졌다. 통합사의 슬롯 기준 점유율은 약 38.5%다.

    요금 인상의 경우 공정위, 국토부 등 감독기관의 견제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국토부는 딜 초기부터 “양사 합병 후 운임 인상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는 없을 것”이라 강조해왔다. 연간 운임 인상 폭 제한 등 정부 차원의 장치도 예상된다.

    아시아나측이 불안을 느끼는 구조조정에 대해서는  “인위적 구조조정은 없다”는 내용을 재차 강조하고 있다.

    전반적인 조직 개편과 함께 중복, 유휴인력의  재배치 계획을 적극 설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사업부 개설, 담당자 재배치 등이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사실상 인수 막바지 단계로, 대한항공은 산업은행과 소비자에게 아시아나 인수와 관련한 신뢰와 유대감을 형성하려 할 것”이라며 “최근 실적, 사업 성장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우려에 대해 해명하며 산은 측 투자 정당성을 납득시킬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