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2021년 스마트병원 착수보고회 개최 ICT-의료 접목 활성화… 5개 병원 컨소시엄 구성
  • 환자 중심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병원’ 구축이 보건의료정책의 중점과제로 떠올랐다. 

    보건복지부는 20일 디지털 뉴딜의 일환으로 ‘2021년 스마트병원 선도모형(모델) 개발 지원사업’ 착수보고회를 개최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알렸다. 

    정부는 지난 2020년부터 오는 2025년까지 6년간 매년 3개 분야를 선정해 시범사업 의료기관을 지원 중이다. 

    작년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의료 공백을 방지하기 위해 원격 중환자실·스마트 감염관리·병원 내 자원관리 등 3개 분야에서 사업을 진행했다.

    올해는 ‘환자 체감형’ 스마트병원을 주제로 병원 내 환자 관리·스마트 특수병동·지능형 워크플로우 3개 분야 관련 5개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강원대병원·아주대병원은 나이가 많은 입원 환자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낙상과 욕창을 줄이기 위해 인공지능(AI)을 도입하기로 했다. 고위험군을 미리 분류하고 앱을 통해 병동 간호사에게 실시간으로 위험 징후를 알리는 방식이다.

    스마트 특수병동 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국립암센터는 항암제 부작용이 우려되는 환자에게 항암제를 투여하는 동안 실시간으로 활력 징후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항암제 투여 모니터링’ 사업을 시작한다.

    삼성서울병원은 병동물품 사용량을 예측해 스스로 재고를 관리하는 ‘스마트 카트장’을 통해 갑작스러운 환자 상황에도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물류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한림대학교 성심병원은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병원을 자동 추천하는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강도태 복지부 2차관은 “스마트병원이 의료 질 향상과 병원 혁신성장 가치를 높이고, ICT와 의료기술 간의 융합뿐만 아니라 환자와 의료진 간의 연결, 다른 병원 간의 연계도 활성화하게 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권순만 보건산업진흥원장은 “그동안 환자·의료진의 만족도가 부족했던 분야에 ICT를 활용한 다양한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과 적용이 이뤄진다면,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은 물론 관련 보건산업 발전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