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이후 2200여명 희망퇴직특별퇴직금으로 최대 4.4억원 수령근속연수 따라 법정퇴직금도 수억원
  • 지난해 말 이후 국내 5대 시중은행에서 2200여명이 자발적으로 은행을 떠나면서 1인당 최소 6억∼7억원의 퇴직금을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실적을 발표한 주요 시중은행 중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 등은 4분기에 희망퇴직 비용을 반영했다.

    이들 은행은 회사를 떠난 직원들에게 희망퇴직에 따른 특별퇴직금으로 1인당 최소 3억4000만원에서 최대 4억4000만원쯤을 지급했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4분기 희망퇴직 비용으로 2725억원을 반영했다. 지난달 퇴직 확정인원이 713명인 것을 고려하면 1인당 3억8200만원을 특별퇴직금으로 지급한 셈이다. 2021년 퇴직자에게 1인당 평균 3억7600만원(674명에 2533억원)을 지급한 것과 비교해 소폭 늘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4분기 실적에 희망퇴직 비용 1336억원을 반영했다. 희망퇴직 인원은 388명으로 1인당 평균 3억4400만원 수준이다.

    올해 초 349명이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떠난 우리은행도 지난해 4분기에 1547억원의 희망퇴직 비용을 책정했다. 1인당 평균 금액은 4억4300만원이다. 현재까지 실적이 발표된 주요 시중은행 중 가장 많다. 지난해 1인당 평균 금액이 3억6600만원(468명에 1713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해도 7700만원쯤 증가했다. 우리은행의 1인당 평균 희망퇴직 비용이 늘어난 것은 희망퇴직자 대부분이 정년을 앞둔 고연차들이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신한은행은 올해 희망퇴직 신청 대상 직급과 연령을 부지점장 아래와 만 44세로 낮춘 점이 1인당 평균 금액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해 말 이후 각 은행이 희망퇴직 신청을 받은 결과를 보면 5대 시중은행에서만 2220여명이 회사를 떠났다. KB국민은행 713명, NH농협 493명, 신한 388명, 우리 349명, 하나 279명 등의 순이었다.

    이들에게는 연차에 따라 월평균 임금 최대 36개월치와 수천만원의 학자금 및 재취업 지원금, 건강검진 비용 등이 지원됐다.

    하나은행은 올 1분기 실적에 희망퇴직 비용을 반영할 예정이다. 지난해 1분기 하나은행은 희망퇴직자 478명에게 1637억원을 지급했다. 1인당 평균은 3억4200만원이었다.

    은행이 4분기 실적에 반영한 희망퇴직 비용은 희망퇴직에 따른 일회성 비용만 감안한 것이다. 근무 기간에 따른 특별퇴직금과 학자금, 건강검진 지원금 등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이 퇴직할 때 제공하는 법정퇴직금 수억원은 빠져 있다. 법정퇴직금은 통상 최근 3개월 월평균 임금에 근속연수를 곱해 계산한다.

    2021년 사업보고서 기준 주요 시중은행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은 KB국민은행 1억1200만원, 신한은행 1억700만원, 하나은행 1억600만원, 우리은행 9700만원 등이었다. 평균 근속연수는 16년 안팎이었다. 16년쯤을 근무한 은행원의 월평균 임금이 808만∼933만원 수준이다.

    희망퇴직 대상자들의 근속연수는 개인별로 차이는 있지만, 올해 대상자 중 가장 고연령인 1967년생의 경우 은행에 입행한 지 최소 25년이 지나 월평균 급여가 훨씬 많은 만큼 이들의 법정퇴직금은 3억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별퇴직금과 법정퇴직금을 합할 경우 올해 초 은행을 떠난 이들은 1인당 최소 6억∼7억원의 목돈을 챙긴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은행별로 2022년 반기보고서를 살펴보면 2021년 말에서 2022년 초 회사를 떠난 은행원 중 일부는 법정퇴직금과 희망퇴직에 따른 특별퇴직금을 합할 경우 1인당 최대 10억원 이상을 받았다.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의 퇴직금 수령액 상위 5명은 1인당 8억∼9억원쯤을 받았고, 하나은행의 경우도 10억원을 넘겼다.

    희망퇴직 조건이 예년과 비슷한 만큼 올해 퇴직자 중에서도 수령액 상위권은 이처럼 10억원 안팎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