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올 메타버스 노마드 사업 예산 10억 편성지자체 5곳 공모 중 14곳 지원… '2.8대 1' 그쳐글로벌 메타버스 흥행 시들 속 'AI 조화' 가능 정책 절실
  • ▲ 메타버스 노마드 사업 홈페이지 화면 ⓒ전파진흥협회
    ▲ 메타버스 노마드 사업 홈페이지 화면 ⓒ전파진흥협회
    정부가 추진중인 '메타버스 노마드 사업'이 지자체의 관심을 끌지 못하면서 참여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버스 산업에 대한 국민 접점을 확대하겠다는 'K-메타버스' 전략이 시작부터 좌초 위기에 놓였다.

    25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메타버스 노마드(Nomad)'란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업무, 여가 등 일상을 자유롭게 영위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메타버스 노마드 사업은 국민과 기업에게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업무 경험을 확산해 메타버스 저변을 확대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마련됐다.

    과기정통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주관으로 지난해 기금 집행잔액을 활용해 메타버스 노마드 시범사업 운영기관 3곳(충남 서천·경북 포항·제주 서귀포)을 선정한 바 있다. 당시 3개 운영기관 선정을 위해 2022년 6월부터 한달간 모집 공고를 실시했지만, 4개 운영기관이 신청하는 데 그쳤다. 경쟁률이 1.33대 1에 불과했던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기정통부는 올해 10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운영기관 2곳을 늘린 5곳의 운영기관 공모에 들어갔다. 4월 5일부터 5월 8일까지 진행된 공모에는 14개 기관이 지원, 2.8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선정된 5곳은 충남 서천, 강원 속초, 강원 춘천, 경북 의성, 제주 지역관 등이다.

    작년보다 경쟁률은 2배 이상 늘었지만, 전국 지자체 226개(75시·82군·69구)를 감안했을 때 참여가 저조한 상황이다. 메타버스 노마드 사업의 참여인원은 300명 정도로, 눈에 띄는 실증이나 결과물도 없는 상태다. 

    이에 대해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메타버스 노마드 사업은) 국민들 대상으로 편의와 참여기회를 제공하는 차원에서 특별한 사례가 있지는 않다"면서도 "다만, 운영기관 경쟁률이 전년 대비 높아져서 긍정적으로 본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메타버스 산업 진흥을 위해 2233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산업 진흥을 위해 ▲플랫폼 개발지원 ▲인재양성 ▲기업지원 ▲기술개발 등 맞춤형 지원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것. 특히 지자체와 협력을 통해 국민 접점을 늘리고, 메타버스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전세계적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흥행이 시들어지는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보여주기식 사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언택트(비대면) 문화가 확대되면서 수혜를 입었지만, 엔데믹 이후 메타버스 열기가 식었다는 것.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의 메타버스 이용률은 4.2%에 그친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이용자들의 관심 하락으로 메타버스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메타플랫폼(옛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도 해당 사업의 투자 및 사업 전략 수정에 들어간 상황"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 역시 최근 챗GPT가 촉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새로운 게임체인저로 부상하면서 메타버스의 성장 가능성을 낙관하기 어렵다고 진단한다. 세계적인 기술 트렌드의 변화를 반영한 정부 정책이 반영돼야 한다는 얘기다.

    이성엽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전세계적으로 메타버스는 이용자들에게 가치를 주지 못하고 고객 경험을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정부는 AI 산업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메타버스 R&D 정책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