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교수 이어 동네의원 원장도 진료 축소 이미 의료대란 속 사망자 속출… 해결책 마련 시급 남겨진 의료진 '번 아웃' 호소전공의 복귀 관건인데 당사자들은 '감감무소식'
  • ▲ ⓒ서성진 기자
    ▲ ⓒ서성진 기자
    전공의 이탈 장기화로 한계에 부딪힌 대학병원 교수들이 진료 축소에 들어가고 동네의원 원장들도 준법투쟁을 선언하며 주 40시간 근무를 결정했다. 생사의 영역에 놓인 환자들의 두려움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됐다. 이대로면 4월은 의료 공포의 달로 전환된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며 '의사들에게 모든 의제를 열어놓고 대화를 하자'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사태 봉합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주 내로 의정 갈등이 풀려야 최악의 사태를 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일 의료계에 따르면 이날부터 전국 의사들은 '2000명 의대증원'에 반대하고 '번 아웃' 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진료 축소를 결정했다.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는 "4월부터 24시간 연속근무 후 익일 주간 업무 '오프'를 원칙으로 하는 데 동의했다. 이 근무조건에 맞춰서 중증·응급환자 진료를 유지하기 위해 수련병원별로 외래와 수술을 조정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은 외래진료, 수술, 입원 진료 근무 시간을 법정 근로시간인 주 52시간으로 줄였고 이달부터 본격 적용하기로 했다. 이들 역시 외래 진료를 최소화해 중증 및 응급 환자 치료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의협 비대위)도 전날 회의를 열어 "몇 가지 제안을 검토한 결과 그동안 움직이지 않았던 개원의들도 주 40시간 진료를 시작하기로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의협 비대위는 "참여를 강요할 수는 없지만 이전에도 나왔던 얘기인 만큼 준비하고 계셨던 분들도 있다"이라며 "많은 회원들이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했던 의견"이라고 했다. 

    대학병원에 이어 개원가의 진료 축소 대응이 동시 다발적으로 이뤄지는 것은 경증부터 중증질환까지 환자 불편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이미 의료대란으로 인한 사망자는 발생하고 있다. 심근경색으로 90대 할머니가 치료받을 병원을 찾다가 결국 응급진료 거부당해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고 말기신부전 투석환자였던 50대 여성 역시 적절한 의료대처를 받지 못해 나흘 만에 숨졌다. 

    또 33개월 아기도 주택 옆 1m 깊이의 도랑에 빠진 사고를 당한 후 병원 9곳(충북 1곳, 대전 3곳, 세종 1곳, 충남 2곳, 경기도 2곳)에 전원을 요청했으나 병상 부족을 이유로 이송을 거부당했고 사망했다. 

    그런데도 이달부터 전국적으로 진료 축소를 결정해 환자 불안감이 더 커지고 있다. 결국 이날 오전 중에 발표할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가 사태 봉합까지 이어질지 주목된다. 

    의대증원 수치 조정이나 원점 재검토 등 내용이 언급되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의대증원의 필요성과 의료계와의 전향적 대화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결국 윤 대통령이 직접 나서게 된 가운데 진료를 축소한 의사들이 다시 정상적 진료체계를 가동할지 주목된다. 이번 주를 봉합의 마지노선으로 잡아야 환자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 의료계와 환자단체의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