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이란 5차 군사충돌시 해외수주 직·간접 타격중동수주 차질 불가피…제2중동붐 기대감 빠르게 소각 국제유가 배럴당 90달러…인프라보다 방산투자 가능성↑'블루오션' 네옴시티도 축소…1단계 목표 '5분의 1' 토막
  • ▲ 레바논 남부 한 마을이 이스라엘군 폭격으로 불타고 있다. ⓒ연합뉴스
    ▲ 레바논 남부 한 마을이 이스라엘군 폭격으로 불타고 있다. ⓒ연합뉴스
    이란의 이스라엘 공습으로 중동정세가 일촉즉발 상황에 놓이면서 해외건설수주 400억달러 목표달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확전이 현실화할 경우 중동내 신규사업 발주가 미뤄지거나 공급망 경색으로 프로젝트 수익성이 급감할 가능성이 높은 까닭이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가 재정고갈로 '네옴 프로젝트' 규모를 대폭 축소한 것도 400억달러 수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동정세가 급격하게 악화하면서 해외시장 확대를 노렸던 건설사들도 바짝 긴장한 분위기다. 이스라엘과 이란간 군사충돌이 5차 중동전쟁으로 확전될 경우 해외수주도 직·간접적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3일(현지시간) 이란은 이스라엘을 겨냥해 미사일과 드론(무인기)을 200기 넘게 발사했다. 이달초 이스라엘이 시리아 주재 이란 대사관옆 영사관건물을 폭격한 것에 대한 보복대응이었다.

    레바논 레즈볼라와 예맨 후티 반군도 공격에 가세, 이스라엘을 향해 로켓과 드론 등을 발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스라엘과 이란이 보복대응과 추가공습을 예고하면서 상황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이달초 GS건설과 삼성E&A의 9조6000억원 규모 사우디아라비아 잭팟으로 '제2중동붐' 기대감도 빠르게 식어가고 있다. 

    건설업계는 단기간내 확전 가능성은 낮게 보면서도 현지정세 악화로 인한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동은 지난해 해외수주액 333억달러중 34.3%(114억달러)를 차지한 핵심 수주텃밭이다. 중동수주에 차질이 생기면 전체 수주액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이란과 이스라엘은 지정학적으로 떨어져 있어 직접적인 물리적 충돌이나 확전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면서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처럼 예상보다 전시상황이 길어질 경우 신규 프로젝트 지연과 공사비 미수금 등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 ▲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플랜트 공단 전경. ⓒGS건설
    ▲ 사우디아라비아 파딜리 가스플랜트 공단 전경. ⓒGS건설
    여기에 국제유가도 급격하게 오르면서 현재 배럴당 85~90달러인 유가가 전시 장기화시 130달러대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유가상승 경우 통상 중동국가들 사업발주로 이어져 호재로 인식되지만 현상황은 그렇지 않다는게 업계 중론이다.

    대형건설 B사 관계자는 "유가가 올라 중동 산유국들의 재정이 개선되더라도 지금처럼 확전 가능성이 높은 시기엔 인프라보다는 방산투자에 우선순위를 둘 가능성이 높다"며 "건설사 입장에서도 급격한 유가상승은 운송비 및 자재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되려 '독'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이달초 사우디 수주건으로 부풀었던 해외건설 기대감도 다시 사그러드는 분위기"라며 "가뜩이나 변동성이 큰 중동시장인데 불안정성이 더 가중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부연했다.

    국내 건설사들의 '블루오션'으로 기대됐던 네옴 프로젝트가 대폭 축소된 것도 해외수주 전망을 어둡게 만들고 있다.

    미국 블룸버그, 중국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사우디정부는 최근 네옴 거주구역인 '더라인' 목표치를 기존 150만명에서 30만명미만으로 조정했다.

    사우디 국부펀드인 공공투자기금(PIF) 현금보유량이 감소하자 프로젝트 규모를 5분의 1 수준으로 줄인 것이다.

    네옴은 사우디 북서부 홍해 인근 사막에 서울 면적 44배에 달하는 2만6500㎢ 규모 미래형 신도시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총사업비는 5000억달러(약 690조원)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건설사중에선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현대건설이 길이 28㎞ 네옴 지하철도 터널공사를 수행중이다.

    해외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프로젝트 자체를 축소했다기보다는 실현가능한 단기목표를 거주민 30만명으로 잡고 점차 늘리려는 의도로 풀이된다"며 "당장 수주할 수 있는 '파이'가 줄어들 경우 현지진출 기업들의 전략수정도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