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정덕의 마켓브리핑

    뉴욕증시, 관세 불확실성 지속에 3거래일 만에 숨고르기 … 나스닥 0.05%↓

    뉴욕증시 3대 지수가 3거래일 만에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기업들의 1분기 실적을 주목하며 숨고르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15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5.83포인트(-0.38%) 하락한

    2025-04-16 서정덕 증권부장
  • 정치野담

    김두관, 민주당 탈당하나 … 커지는 '반명 빅텐트' 잠재력

    김두관 전 의원이 더불어민주당 경선룰에 반발하며 '경선 거부'를 선언하자 그의 거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전 의원이 탈당한 뒤 무소속으로 출마하거나 제3세력과 연대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 한 재선 의원은 15일 뉴데일리와의

    2025-04-15 이지성 기자
  • 윤아름의 플래시

    'LG' 떼고 실적 폭삭 … LX세미콘, 성장 동력 언제쯤 찾나

    LX세미콘이 60%에 육박하는 LG디스플레이 의존도를 탈피하기 위해 고전하고 있다. 형제 계열사인 LG디스플레이를 통해 빠르게 성장했지만 밴더를 이원화하며 수익이 줄고 있다. 특히 중국 고객사 확보, 신사업도 난항을 겪으며 새로운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15일 LX세

    2025-04-15 윤아름 기자
  • 서정덕의 마켓브리핑

    뉴욕증시, 전자기기 상호관세 한시 면제에 상승 … 나스닥 0.64%↑·애플 2.21%↑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상승세를 이어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스마트폰과 PC 등 전자제품 일부를 면제하며 애플 등 관련주를 중심으로 상승폭을 키웠다. 다만, 해당 조치가 일시적 조치이며 반도체 품목 관세 부과 방침이 확인되면서 불확실성은

    2025-04-15 서정덕 증권부장
  • 정치野담

    '개딸룰'에도 김동연·김경수 경선 참여 … '이재명과 아이들' 구도 만든 친명 반색

    더불어민주당이 대선 경선룰을 확정한 가운데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경선에 참여하기로 하면서 친명(친이재명)계가 반색하고 있다. 김 지사와 김 전 지사는 경선룰의 불합리함을 제기하고 경선을 거부한 김두관 전 의원과 달리 경선에 참여해 이 전 대표와 승

    2025-04-14 오승영 기자
  • 엔진 꺼진 유통

    사업 축소·철수로도 못 살린다 … 유통업계 구조조정 줄이어

    장기화된 경기 침체로 유통업계가 벼랑 끝에 서 있다. 티메프(티몬·위메프), 홈플러스, 발란 등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매장 철수, 인력 구조조정, 매각 등 생존을 위한 강도 높은 전략을 취하고 있다. 미국발 고관세 정책으로 고환율과, 규제 강화 등

    2025-04-14 이미현 기자
  • 엔진 꺼진 유통

    퍼펙트스톰 속 생존 위한 몸부림 … "극심한 버티기 시작됐다"

    장기화된 경기 침체로 유통업계가 벼랑 끝에 서 있다. 티메프(티몬·위메프), 홈플러스, 발란 등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매장 철수, 인력 구조조정, 매각 등 생존을 위한 강도 높은 전략을 취하고 있다. 미국발 고관세 정책으로 고환율과, 규제 강화 등

    2025-04-14 김보라 기자
  • 엔진 꺼진 유통

    혼란한 정국에 늘어나는 규제 … 숨통 막히는 대형마트·면세·백화점

    장기화된 경기 침체로 유통업계가 벼랑 끝에 서 있다. 티메프(티몬·위메프), 홈플러스, 발란 등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매장 철수, 인력 구조조정, 매각 등 생존을 위한 강도 높은 전략을 취하고 있다. 미국발 고관세 정책으로 고환율과, 규제 강화 등

    2025-04-14 조현우 기자
  • 엔진 꺼진 유통

    "새 주인 찾아요" 유통업계 지각변동 계속된다

    장기화된 경기 침체로 유통업계가 벼랑 끝에 서 있다. 티메프(티몬·위메프), 홈플러스, 발란 등 주요 기업들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매장 철수, 인력 구조조정, 매각 등 생존을 위한 강도 높은 전략을 취하고 있다. 미국발 고관세 정책으로 고환율과, 규제 강화 등

    2025-04-14 최신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