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은희 의원 "GSP 인프라 비용 55%, 게임사업 축소에도 비용 지출 그대로""게임국가기술 자격증 및 게임 아카데미 사업 역시 재검토 필요"
-
국내 온라인게임 시장 성장 정체로 온라인게임 해외서비스를 목적으로 하는 글로벌게임서비스 플랫폼(GSP)사업 성과가 저조한 만큼 해당 사업을 전면 재검토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17일 진행된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한국콘텐츠진흥원 국정감사에서 강은희 새누리당 의원은 “GSP에 투자되는 비용을 게임 업체에 직접 지원해주는 방안으로 사업비를 재구성 해야 한다”고 밝혔다.GSP 사업은 예산의 55%가 KT 데이터센터 사용료 및 통신서비스로 지출되고 있다. 이는 고정비 성격이 강해 예산운영의 탄력성이 떨어진다.
국내 온라인게임 시장 정체로 게임 제작이 줄어들어 GSP 사업에 지원하는 숫자가 2009년 20개에서 지난해 12개로 대폭 감소했다. 하지만 이 같은 인프라 운영비용은 같은 기간 17억7500만원에서 19억8000만원으로 여전했다.강 의원은 “이처럼 서비스 게임 숫자가 줄어들어도 고정비용 성격이 강한 인프라 운영비용은 그대로 지원되고 있다”며 “전면 재검토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어 그는 “이 사업을 게임 대기업에 위탁, 해당 인프라를 사용하게 하거나 게임 업체들이 신규 게임을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으로 사업비를 재구성 해야 한다”고 말했다.더불어 강 의원은 게임국가기술 자격증에 대한 실효성 문제를 제기했다. 강 의원은 "10년 동안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이 4000여 명 밖에 안 돼 유명무실하다"면서 "게임 제작 비용에 목말라 하는 기업 지원 쪽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낫다"고 주장했다.뿐만 아니라 게임 산업 지원 육성을 위한 아카데미 사업에 대해 "초기에는 업체로부터 많은 호응을 받았지만 국가 기관 전략 직종 훈련 사업으로 통합되면서 교육의 질이 떨어졌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고 밝혔다.강 의원은 "이는 제조업 중심으로 운영돼 경직돼 있고 강사 관리도 엄격하다"면서 "게임 사업은 트렌드가 중요해 게임 제작자가 직접 참여하거나 현장 엔지니어가 강의하는 등 유연성이 필요해 이런 방식으로는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고 비판했다.이에 홍상표 한국콘텐츠진흥원장은 "게임 아카데미가 초기엔 성과가 있었지만 지금은 많이 희석됐다"며 "현장이 요구하는 게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고용노동부로부터 분리하도록 허가 받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