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들어 화훼산업 침체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우리나라 화훼산업은 정부의 규제의 틀 속에서 침체된 농업분야로써 몸살을 앓고 있다. 국내농업생산액의 약2%에도 못 미치는 화훼를 너무 무시하고 업신여기는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 지금에 우리화훼산업은 위기 속에 위기이며 풍전등화라는 절체 절명의 순간에 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화훼생산액은 2005년 1조원을 고점으로 해서 2013년말 기점으로 7,368억으로 감소하면서 약30%정도 감소하였다.
화훼재배농가는 2005년말 13,000여 농가에서 2013년도에 9,147농가로 감소했으며 재배면적 역시 6,430ha로 감소하였으며 농가당 평균경영규모는 0,71ha를 보이고 있다
반면 화훼 소비는 1인당 2005년도에 20,000원을 넘어섰다가 2013년 에는 1인당 화훼소비액이 14,452원이라는 OECD국가증 최하위라는 오명을 안고 있다.
아무리 세계경기와 국내경기기 침체라 하지만 그나라 국민의 문화척도를 나타내는 꽃소비가 경제규모에 비해 너무 초라한 현실이 화훼인의 한사람으로써 부끄럽기 짝이 없다.
나아가, 화훼수출은 2000년대초 국내 수출효자 품목으로 명성을 보였으나 2013년도에는 화훼수출액이 61,182천불로 큰폭 으로 감소하는 부진을 보였다. 물론 우리화훼수출이 일본에 국한되어있고 아베노믹스에 따른 엔저정책으로 일본수출이 감소하면서 이런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러나 화훼수입은 2013년도에는 51,103천불로 소폭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대개 수입품은 동남아국가(태국,대만,중국등)에서 난묘, 종자. 화훼관련자재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면 우리나라화훼산업의 문제점을 어디에 있는가? 정부의 정책중 보이지 않는 규제에 있다고 생각해 보지 않을 수 없다. 가장 큰 문제점으로 몇 가지를 지적하고자 한다.
첫째 정부에서 정책당국자가 물가와 연동해서 꽃소비 규제를 하고 있다는 것이 소비자들의 여론을 악화 시키고 있다.
둘째 우리사회여론을 주도하는 오피니언 리더들과 정부관계자들이 꽃이 사치품이라는 인식이 가장 큰 문제 인 것 같다.
셋째로는 국민권익위원회에서 공무원행동강령에 선물로 3만원을 제한하면서 꽃이라는 품목을 은근히 암시하는 뉘앙스가 특정 산업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꽃을 선물하는 공무원들께 인사상 불이익을 준다는 악법은 하루빨리 개선하여야 한다.
넷째로는 우리나라 꽃 소비문화가 경조사용으로 약80%이상 소비되고 가정용 꽃소비가 부진한 우리소비문화의 개선필요하며 자기과시문화의 영향도 컸으리라 판단된다.
다섯째 한 · 중 FTA라는 체결과 비준이행이라는 장벽앞에 놓인 화훼수입의 무분별한 과잉공급이 국내 화훼산업에 침체를 재촉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화환재사용이라는 화훼소비문화의 보수성과 고정관념이 우리사회에서 깊이 뿌리를 내라고 있는 것이 꽃산업 발전에 크 걸림돌로 작용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는 화훼인들의 지혜와 화합과 소통도 중요하지만
정부의 정책변화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생각된다.
화훼가 선물용과 경조사용으로 우리의 곁에 항상 지켜준데 대해서 고마움을 모르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너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
화훼는 농촌에서 키운 농산물이다. 꽃소비는 우리문화의 척도이다.
우리화훼농업인들은 국내 화훼산업 위축으로 폐업 일보직전에 내몰린 상황이다. 이렇게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국내화훼소비위축에다, 한,중FTA에 따른 수입꽃문제와 화환재활용 문제 등으로 이중고의 아픔을 겪고 있다.
화훼산업은 농림축산부 원예경영과에서 소비촉진을 위해 온갖 정책아이디어를 내고 여러 가지 정책을 내놓고 실행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정부정책 변화에 변화가 없다면 그것은 한낮 허공에 불과하다.
지금은 규제개혁에 적기며 박근혜정부에서 규제개선을 외치고 있다. 화훼산업을 담당하는 정책담당자들은 누구의 눈치를 보고 복지부동하는 것은 아닌지 묻고싶다. 지금이 화훼인들을 위해서 가장 봉사할 수 있는 적기다. 하루빨리 규제개혁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지혜는 어떨는지. 화훼농업인들이여, 힘을내자 파이팅!
aT 농식품 유통교육원 마케팅 지도교수 권영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