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터미널 법인 지분 매각 추가 자금 확보 해운업계 "해외 지분 매각 크게 의미 없다"
  • ▲ ⓒ한진해운
    ▲ ⓒ한진해운
한진해운이 사면초가에 놓였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추가 유동성 확보에 나섰지만 경영정상화까지 많은 과제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엄밀히 말하면 답이 보이지 않는 게 현실이다.

한진해운은 지난 4월 말 4112억원의 추가 자구안을 채권단에 제출했다. 하지만 채권단은 내년 말까지 필요한 유동성 자금이 1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스스로 자구안 마련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채권단은 추가 자금지원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법정관리 수순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법정관리행'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한진해운은 당장 채권단과 맺은 조건부 자율협약 마감시한인 8월 4일까지 용선료 협상과 사채권자 채무조정을 이뤄내야 한다.

마감시한이 코 앞인데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구체적인 성과가 나오지 않아 채무 재조정과 용선료 협상을 기한 내에 끝내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한진해운 측은 좀 더 시간을 벌기 위해 자율협약 기한을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 중에 있다.

용선료 협상과 사채권자 채무조정 뿐만 아니라 법정관리 압박을 받고 있는 한진해운은 유동성 마련도 시급하다. 지난 13일 한진해운은 베트남 탄깡까이멥 터미널 법인 지분 21.33% 전량을 (주)한진에 매각한다고 밝혔다. 매각 금액은 230억원으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추가 유동성 확보라는 게 한진해운 측 설명이다. 

한진해운은 지난 4월말 발표한 4112억 원 규모의 추가 자구 계획 중 상표권, 벌크선, H-Line 지분, 중국 자회사 지분 및 런던사옥 매각 등을 통해 1744억원을 확보했다. 추가 자구 계획 이외에 동경 사옥 매각, 아시아 역내 일부 노선 영업권 양도 및 이번 베트남 터미널 법인 지분 매각 등을 통해 총 933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하게 됐다.

추가 유동성 확보에도 불구하고 관련업계에서는 법정관리를 염두하고 있다. 해운업계 한 관계자는 "한진해운이 자금 마련을 위해 돈되는 건 다 팔고 있는 상황이지만, 밑 빠진 독에 물붓기"라며 "그룹 자체에서 큰 지원이 없지 않는 이상 해외 지분 매각은 크게 의미 없다"고 지적했다.  

한진해운은 올해 안으로 경영 정상화를 이루기 위한 유동성 자금을 마련해야 한다. 모기업인 한진그룹의 도움이 절실하지만 한진그룹 역시 자금 여력이 좋지 않은 상황이다. 한진해운 측은 용선료 협상을 잘 마무리해서 채권단을 설득시키겠다는 입장이다.

한진해운 관계자는 "구조조정 과정을 하나하나 잘 이행하고 있는 중이다. 최우선으로 모든 노력을 기울여 재무 구조 개선을 위해 역량을 계속 집중하겠다. 앞으로 용선료 협상을 잘 마무리해서 채권단을 설득해 나갈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법정관리를 결정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채권단이 한진해운에 대해 법정관리행을 선택하게 되면 해외 네트워크 및 영업망은 물거품이 될 공산이 크다. 해운동맹에서 회원사로서 자격을 유지시켜주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관련 선박들은 국내 항만시설에 들어오지 않게 돼 항만 산업도 동시에 직격탄을 받게 될 것이 자명하다. 해운산업은 물론 후방산업이 도미노처럼 무너지게 된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채권단이 대규모 자금 지원을 해주는 것도 녹록치 않다. 부실관리에 대한 책임 공방이 있는 상황에서 국민의 혈세를 투입하는 것에 거부감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결국 채권단이 할 수 있는 것은 한진그룹을 최대한 압박하면서 조금이라도 유동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게 현재 취할 수 있는 최선이란 분석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한진해운의 앞 길은 답이 없다는 업계의 중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