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비중 큰 상황서 회장‧은행장직 분리 무의미내부 암투 빈번해 ‘CEO리스크’ 불확실성 계속돼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DGB금융지주가 휘청거리고 있다.

    하이투자증권 인수, 해외진출 등 굵직한 사업을 추진 중이지만 갑작스럽게 박인규 회장의 사임으로 모든 사업이 일시 정지된 상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DGB금융지주는 최근 긴급 이사회를 열고 박인규 회장의 사표 수리, 직무대행으로 김경룡 부사장을 선임했다.

    대구은행 역시 박명흠 부행장을 은행장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했다. 일단 급한 불은 껐지만 CEO리스크의 여진은 계속되고 있다.

    우선 이사회는 그동안 겸임됐던 회장, 은행장을 분리할 지 여부를 결정짓지 못했다.

    이 문제를 풀어야만 후임자 선정을 시작할 수 있지만 내부에선 굳이 분리하는 게 맞는지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DGB금융지주의 경우 비은행 계열사보다 은행의 역할이 크다. 그렇다보니 지주 회장의 역할이 은행장보다 적을 수 있어 오히려 둘 사이 관계만 나빠질 것이란 우려다.

    실제 BNK, JB금융지주도 은행 부분이 비은행 계열사보다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만 지주 아래 두 개의 은행이 존재해 지주 회장이 중간에서 콘트롤타워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무리가 없다.

    업계 관계자는 “DGB금융지주는 사실상 대구은행이라고 봐도 무관하다. 하이투자증권 인수 등 비은행 덩치를 어느 정도 키웠다면 회장, 은행장의 역할을 나눠 시너지를 이룰 수 있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회장과 은행장을 나누는 게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사실 박인규 회장이 사임하게 된 배경에는 내부에서의 암투에서 시작됐다는 이야기도 있다.

    비리 혐의로 경찰 조사가 시작된 게 은행 내부 투서에서 비롯됐다는 얘기다. 박인규 전 회장도 조사를 받는 동안 임원들의 휴대폰 통화 내역 제출을 요구하는 등 제보자 색출에 나선 바 있다.

    역대 대구은행장도 연임을 성공하고도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한 사례를 보면 내부 권력투쟁이 극심하다는 얘기다.

    업계 관계자는 “이사회도 대구은행만이 갖고 있는 조직문화을 알다보니 회장, 은행장 분리 문제부터 공모 방식, 입후보 자격기준 등을 쉽사리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며 “그래도 이번에 지배구조를 확립하지 못하면 앞으로도 CEO리스크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