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0.25%p 추가 인하…한미금리차 1.50%p트럼프발 정책으로 “인하 속도 늦춰질 것” 전망파월 "사퇴 요구해도 안해…대통령 해임권한 없어"현대경제硏 "글로벌 관세전쟁 시 한국 성장률 1.1%p↓"시장, 한은 11월 올해 마지막 금통위 동결 전망 우세
-
미국이 지난 9월 빅컷(0.5%포인트 인하)에 이어 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우리나라의 물가가 두 달 연속 1%를 기록하는 등 금리인하 여건이 마련됐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으로 한국은행의 셈법이 매우 복잡해졌다. 1400원대를 뚫은 원·달러 환율과 관세 전쟁 예고 등 트럼프발 정책으로 인플레이션 자극 우려가 높아졌기 때문이다.아울러 수도권 집값 상승 자극과 가계대출 증가세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 시장에선 올해 단 한 번 남은 1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인하 아닌 동결에 나설 거란 전망마저 나온다.◇기준금리 0.25% 인하, 9월 이어 연속 두 차례8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7일(현지시간) 정례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만장일치로 4.50~4.7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이는 지난 9월 ‘빅컷’(0.5%포인트 인하)을 단행한 이후 2차례 연속 인하로, 시장 예상에 부합했다. 이에 따라 한국(3.25%)과 미국의 금리 격차는 1.50%포인트로 줄었다.다만 이번 11월 FOMC 성명문에선 앞서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로 향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고 평가한 문구 전체가 삭제됐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다시 반등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분석된다.시장에서는 트럼프의 당선으로 미국 금리인하의 폭과 시기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 당선인의 관세 및 이민 정책들이 인플레이션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로이터에 따르면 당초 시장은 연방준비제도가 내년에 4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시사했지만, 트럼프의 승리에 따라 2번가량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
◇파월 “사임 요청해도 안 해”… 트럼프, 연준 9월 빅컷 “정치 행위” 비판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트럼프 당선인이 사퇴를 요구해도 물러나지 않겠다는 의지를 강력하게 밝혔다.다만 “관세 부과, 대규모 감세 등 차기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정책이 통화정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현시점에서 정책 변화를 알 수 없다”며 “단기적으로는 선거 결과가 통화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트럼프 당선인은 1기 재임 기간 동안 자신이 임명한 파월 의장에 금리 인하를 공개적으로 압박하기도 했다. 지난달 선거기간에는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파월이 옳은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될 경우 해고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2026년 임기가 끝나는 그를 재임명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9월 연준의 빅컷 단행에 대해서는 '정치 행위'라며 비판하기도 했다.◇금리인하 여건은 마련… 트럼프발 불확실성, 집값·가계부채 자극 우려이번 연준의 금리 인하로 우리나라와 미국 간 금리 격차는 1.50%로 좁혀졌다.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두 달 연속 1%대에 그치면서 금리 인하 여건이 갖춰졌다. 3분기 GDP(국내총생산) 성장률도 0.1%에 그치면서 경기 부진 우려도 커지고 있다.현대경제연구원은 전날(7일) '트럼프 노믹스 2.0과 한국경제' 보고서를 내고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선으로 '관세 전쟁'이 세계로 확산하면 한국 경제 성장률이 많게는 1.1%포인트 떨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여기에 식지 않은 가계대출 문제와 트럼프 당선으로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한은의 금리인하 셈법이 복잡해졌다. 한은은 오는 28일 올해 마지막 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원·달러 환율은 트럼프의 승리가 확정되면서 약 7개월 만에 1400원대로 올라섰다. 현재 1380~1390원대에서 등락하고 있는 모습이지만 시장에서는 1450원까지도 오를 수 있다고 본다.이에 시장에서는 한은이 우선 11월에는 금리를 동결하고 시장 상황을 지켜볼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기자들과 만나 “환율이 지금 우리가 원하는 것보다 높게 올라와 있고 상승 속도도 빠르다”며 “지난번까지 고려 요인이 아니었던 환율이 고려 요인으로 들어왔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