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무게 20만톤, 81개 모듈로 분리 제작해 운송“국제유가 상승으로 추가 해양플랜트 수주 기대”
  • ▲ 울산 신한중공업에서 카자흐스탄 텡기즈 유전으로 지난 25일 출항한 대우조선해양의 원유생산 플랜트 첫 모듈. ⓒ대우조선해양
    ▲ 울산 신한중공업에서 카자흐스탄 텡기즈 유전으로 지난 25일 출항한 대우조선해양의 원유생산 플랜트 첫 모듈. ⓒ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이 창사 이래 최대금액으로 수주한 육상 원유생산 플랜트 첫 모듈이 출항했다. 대우조선은 지난 2014년 해당 프로젝트를 약 3조원에 수주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카자흐스탄 텡기즈 유전에 설치되는 초대형 원유생산 플랜트(TCO 프로젝트) 첫 모듈 건조를 완료하고 지난 25일 출항식을 가졌다고 28일 밝혔다.

    TCO 프로젝트 첫 모듈은 대우조선 자회사인 울산 신한중공업에서 출발했다. 이후 인도양을 지나 이집트 수에즈운하, 러시아 볼가돈 운하 등을 거쳐 카자흐스탄 텡기즈 유전에 도착한다. 총 1만9000km에 달하는 거리를 약 90일에 걸쳐 운송된다.

    TCO 프로젝트는 총 81개 모듈로 구성됐다. 대우조선 옥포조선소에서 53개, 자회사 신한중공업에서 28개 모듈을 제작한다. 이번에 출항된 모듈 2개는 신한중공업에서 제작됐고, 오는 2020년 7월까지 나머지 79개 모듈이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TCO 프로젝트는 수주금액뿐만 아니라 규모면에서도 역대 최대다. 81개 모듈 전체 무게가 약 20만톤에 달해 1.5톤 규모 중형차 약 13만대 무게와 맞먹는다.

    TCO 프로젝트는 최근 해양플랜트 일감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해양플랜트 생산인력이 3년간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물량이다. 향후 발주될 해양플랜트 수주에 대비해 기술력 향상과 핵심인력 유지 등의 역할을 톡톡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지난 3년간 지속된 저유가 기조를 깨고 국제유가가 상승하고 있어 오일메이저 중심으로 해양플랜트 발주가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TCO 프로젝트 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신뢰도를 높이고 향후 해양사업 수주에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국가 중 가장 많은 원유 매장량을 자랑한다. 이를 통해 추후 대형 프로젝트가 발주될 가능성이 높다. 대우조선은 TCO 프로젝트의 첫 모듈 출항으로 해당 지역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